호출 부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상세 =
= 상세 =
라디오 방송에서 '''HLKV'''와 같은 영문 모를 알파벳을 부르는 것도 방송국 또한 무선국으로 등록되어 호출부호를 지정받았기 때문이다. '''HLKV'''는 라디오 방송국 중 하나인 MBC FM4U의 호출부호이며, 'MBC FM4U'호출 명칭에 해당한다.
라디오 방송에서 '''HLKV'''와 같은 영문 모를 알파벳을 부르는 것도 방송국 또한 무선국으로 등록되어 호출부호를 지정받았기 때문이다. '''HLKV''', '''HLKV-DTV'''는 MBC 방송국의 호출부호이며, 'MBC'와 'MBC FM4U'등은 호출 명칭에 해당한다.


= 아마추어 무선에서 =
= 아마추어 무선에서 =

2022년 5월 5일 (목) 00:51 판


개요

호출부호 또는 콜사인(Call sign)은 무선국을 구분할 수 있도록 지정되는 식별 부호이다.

상세

라디오 방송에서 HLKV와 같은 영문 모를 알파벳을 부르는 것도 방송국 또한 무선국으로 등록되어 호출부호를 지정받았기 때문이다. HLKV, HLKV-DTV는 MBC 방송국의 호출부호이며, 'MBC'와 'MBC FM4U'등은 호출 명칭에 해당한다.

아마추어 무선에서

아마추어 무선 통신 상에서는 호출부호를 하나씩 끊어서 음성 기호로 말하는 것이 적절하다. 단, 숫자는 그냥 영어 발음으로 말하는 편.

국제 호출부호

국제 호출부호 일람 문서 참조

대한민국의 호출부호

ITU 접두

대한민국이 ITU로부터 처음 접두 부호(Prefix)를 부여받은 것은 1947년 9월 3일 국제전파통신회의로, 당시 HLHM을 부여받았다. 이 날은 '방송의 날'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기념되고 있다.

개인 아마추어국이 처음 허가된 것도 1960년 9월 3일로, 조요성(HM1AA)·조요윤(HM1AB) 형제가 공식적으로 첫 개인 호출부호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HM 접두는 1977년 북한에 넘겨주게 되면서 HM 접두의 호출부호는 전부 회수되었다.

ITU에서 국내에 배정된 접두 부호와 국내 지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아마추어용의 경우 HL국은 모두 소진된 상태이다.

  • HL, DS, 6K, 6L, 6M, 6N, D7, D8, D9, DT

현재 경인·경남은 6K, 경북은 6L, 그 외 지역은 DS가 부여되고 있다.

국내 접두

세 번째 자리는 국내에서 부여하며, 그 중 숫자는 아마추어용으로 등록 기준지를 나타내게 된다. 아래 표는 현재 부여 현황이다.


부호 설명
0 단체국
1 서울
2 경기, 인천, 강원
3 충남, 대전, 세종, 충북
4 전남, 광주, 전북, 제주
5 경남, 부산, 울산, 경북, 대구
6 미지정
7 미지정
8 미지정
극지 운용(세종 과학기지)
9 주한 미군 및 관계자
A-Z 방송국 및 일반 무선국
  • HL국에 한해 설치 기준지 변경에 따라 세 번째 자리도 함께 변경되며, 그 외에는 최초 등록 기준지에 따라 고유하게 부여되어 설치 기준지가 바뀌어도 호출부호가 바뀌지 않는다.

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