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기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분류:ITU]][[분류:아마추어 무선]]
통화약어는 소음,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파벳과 단어가 일대일로 짝지어진 시스템이다. '포네틱(phonetic) 코드'라고도 한다.</br>
== 개요 ==
대한민국에서는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별표 1.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모르스부호·약어 및 통화표'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br>
교신 중 소음이나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단어의 철자를 정확하게 전달할 때 사용하는 통화 약어로, '포네틱(phonetic) 코드'라고도 한다.</br>
포병으로 군 복무 한 사람들에게 익숙한 '포병숫자'가 여기서 나온 것이다.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부문)에서 국제 표준 권고안[[https://life.itu.int/radioclub/rr/ap14.pdf|#]]을 제정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채용하여 중앙전파관리소 고시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모르스부호·약어 및 통화표'[[https://www.law.go.kr/행정규칙/무선국의운용등에관한규정/(2020-1,20200922)|#]]를 통해 규정하고 있다.</br>
군에서 통신병이나 포병 등으로 복무한 사람에게 익숙한 개념이다.
<br>
== 영문 통화표 ==
{| class="wikitable"
|+※ 밑줄은 강세
|| '''문자''' || '''읽기''' ||'''한글발음''' ||'''영문발음'''
|-
|| A ||Alfa||<u>알</u>파||<u>AL</u> FAH
|-
|| B ||Bravo||<u>브라</u>보||<u>BRAH</u> VOH
|-
|| C ||Charlie||<u>찰</u>리 또는 <u>샬</u>리||<u>CHAR</u> LEE 또는 <u>SHAR</u> LEE
|-
|| D ||Delta||<u>델</u>타||<u>DELL</u> TAH
|-
|| E ||Echo||<u>에</u>코||<u>ECK</u> OH
|-
|| F ||Foxtrot||<u>폭스</u>트롯||<u>FOKS</u> TROT
|-
|| G ||Golf||골프||GOLF
|-
|| H ||Hotel||호<u>텔</u>||HOH <u>TELL</u>
|-
|| I ||India||<u>인</u>디아||<u>IN</u> DEE AH
|-
|| J ||Juliett||<u>줄</u>리<u>엣</u> 또는 <u>쥬</u>리<u>엣</u>||<u>JEW</u> LEE <u>ETT</u>
|-
|| K ||Kilo||<u>킬</u>로 또는 <u>키</u>로||<u>KEY</u> LOH
|-
|| L ||Lima||<u>리</u>마||<u>LEE</u> MAH
|-
|| M ||Mike||마이크||MIKE
|-
|| N ||November||노<u>벰</u>버||NO <u>VEM</u> BER
|-
|| O ||Oscar||<u>오스</u>카||<u>OSS</u> CAH
|-
|| P ||Papa||파<u>파</u>||PAH <u>PAH</u>
|-
|| Q ||Quebec||퀘<u>벡</u>||KEH <u>BECK</u>
|-
|| R ||Romeo||<u>로</u>미오 또는 <u>로</u>메오||<u>ROW</u> ME OH
|-
|| S ||Sierra||시<u>에</u>라||SEE <u>AIR</u> RAH
|-
|| T ||Tango||<u>탱</u>고||<u>TANG</u> GO
|-
|| U ||Uniform||<u>유</u>니폼 또는 <u>우</u>니폼||<u>YOU</u> NEE FORM 또는 <u>OO</u> NEE FORM
|-
|| V ||Victor||<u>빅</u>터 또는 <u>빅</u>타||<u>VIK</u> TAH
|-
|| W ||Whiskey||<u>위스</u>키||<u>WISS</u> KEY
|-
|| X ||X-ray||<u>엑스레이</u>||<u>ECKS RAY</u>
|-
|| Y ||Yankee||<u>양</u>키||<u>YANG</u> KEY
|-
|| Z ||Zulu||<u>줄</u>루 또는 <u>쥬</u>루||<u>ZOO</u> LOO
|}


= 영문 통화표 =
|| '''문자''' || '''약어''' ||<-2> '''발음방법''' ||
|| A ||Alfa/Alpha||알파||AL-FAH||
|| B ||Bravo||브라보||BRAH-VOH||
|| C ||Charlie||찰리||CHAR-LEE||
|| D ||Delta||델타||DELL-TAH||
|| E ||Echo||에코||ECK-OH||
|| F ||Foxtrot||폭스트롯||FOKS-TROT||
|| G ||Golf||골프||GOLF||
|| H ||Hotel||호텔||HOH-TELL||
|| I ||India||인디아||IN-DEE-AH||
|| J ||Juliett||줄리엣||JEW-LEE-ETT||
|| K ||Kilo||킬로||KEY-LOH||
|| L ||Lima||리마||LEE-MAH||
|| M ||Mike||마이크||MIKE||
|| N ||November||노벰버||NO-VEMBER||
|| O ||Oscar||오스카||OSS-CAH||
|| P ||Papa||파파||PAH-PAH||
|| Q ||Quebec||케벡||KEH-BECK||
|| R ||Romeo||로미오||ROW-ME-OH||
|| S ||Sierra||시에라||SEE-AIR-RAH||
|| T ||Tango||탱고||TANG-GO||
|| U ||Uniform||유니폼||YOU-NEE-FORM||
|| V ||Victor||빅터||VIK-TAH||
|| W ||Whiskey||위스키||WISS-KEY||
|| X ||X-ray||엑스레이||ECKS-RAY||
|| Y ||Yankee||양키||YANG-KEY||
|| Z ||Zulu||줄루||ZOO-LOO||


= 국문 통화표 =
{| class="wikitable sortable"
|| '''숫자/기호''' || '''읽기''' ||'''한글발음'''||'''영문발음'''
|-
|| 0 ||NADAZERO||나다제로||NAH-DAH-ZAY-ROH
|-
|| 1 ||UNAONE||우나원||OO-NAH-WUN
|-
|| 2 ||BISSOTWO||비소투||BEES-SOH-TOO
|-
|| 3 ||TERRATHREE||테라쓰리 또는 테라트리||TAY-RAH-TREE
|-
|| 4 ||KARTEFOUR||카테포 또는 카테포어||KAR-TAY-FOWER
|-
|| 5 ||PANTAFIVE||판타파이브||PAN-TAH-FIVE
|-
|| 6 ||SOXISIX||속시식스||SOK-SEE-SIX
|-
|| 7 ||SETTESEVEN||세테세븐||SAY-TAY-SEVEN
|-
|| 8 ||OKTOEIGHT||옥토에이트||OK-TOH-AIT
|-
|| 9 ||NOVENINE||노베나이너||NO-VAY-NINER
|-
|| 소수점 ||DECIMAL||데시멀 또는 데시말||DAY-SEE-MAL
|-
|| 종지부 ||STOP||스톱||
|}
== 국문 통화표 ==
{| class="wikitable"
|| '''문자''' || '''읽기''' || '''활용법''' || '''문자''' || '''읽기''' || '''활용법''' 
|-
|| ㄱ ||기러기||기러기의 기역|| ㅏ ||아버지||아버지의 아
|-
|| ㄴ ||나포리||나포리의 니은|| ㅑ ||야자수||야자수의 야
|-
|| ㄷ ||도라지||도라지의 디귿|| ㅓ ||어머니||어머니의 어
|-
|| ㄹ ||로오마||로오마의 리을|| ㅕ ||연못||연못의 여
|-
|| ㅁ ||미나리||미나리의 미음|| ㅗ ||오징어||오징어의 오
|-
|| ㅂ ||바가지||바가지의 비읍|| ㅛ ||요지경||요지경의 요
|-
|| ㅅ ||서울||서울의 시옷|| ㅜ ||우편||우편의 우
|-
|| ㅇ ||잉어||잉어의 이응|| ㅠ ||유달산||유달산의 유
|-
|| ㅈ ||지게||지게의 지읒|| ㅡ ||은방울||은방울의 으
|-
|| ㅊ ||치마||치마의 치옻|| ㅣ ||이순신||이순신의 이
|-
|| ㅋ ||키다리||키다리의 키읔|| ㅐ ||앵무새||앵무새의 애
|-
|| ㅌ ||통신||통신의 티읕|| ㅔ ||엑스레이||엑스레이의 에
|-
|| ㅍ ||파고다||파고다의 피읖
|-
|| ㅎ ||한강||한강의 히읗
|}


|| '''문자''' || '''약어''' || '''발음방법''' || '''문자''' || '''약어''' || '''발음방법''' || '''문자''' || '''약어''' || '''발음방법''' ||
|| ㄱ ||기러기||〃의 기역|| ㅏ ||아버지||〃의 아|| 1 ||하나||하나||
|| ㄴ ||나포리||〃의 니은|| ㅑ ||야자수||〃의 야|| 2 ||둘||둘||
|| ㄷ ||도라지||〃의 디귿|| ㅓ ||어머니||〃의 어|| 3 ||삼||삼||
|| ㄹ ||로오마||〃의 리을|| ㅕ ||연못||〃의 여|| 4 ||넷||넷||
|| ㅁ ||미나리||〃의 미음|| ㅗ ||오징어||〃의 오|| 5 ||오||오||
|| ㅂ ||바가지||〃의 비읍|| ㅛ ||요지경||〃의 요|| 6 ||여섯||여섯||
|| ㅅ ||서울||〃의 시옷|| ㅜ ||우편||〃의 우|| 7 ||칠||칠||
|| ㅇ ||잉어||〃의 이응|| ㅠ ||유달산||〃의 유|| 8 ||팔||팔||
|| ㅈ ||지게||〃의 지읒|| ㅡ ||은방울||〃의 으|| 9 ||아홉||아홉||
|| ㅊ ||치마||〃의 치옻|| ㅣ ||이순신||〃의 이|| 0 ||공||공||
|| ㅋ ||키다리||〃의 키읔|| ㅐ ||앵무새||〃의 애||
|| ㅌ ||통신||〃의 티읕|| ㅔ ||엑스레이||〃의 에||
|| ㅍ ||파고다||〃의 피읖||
|| ㅎ ||한강||〃의 히읗||


= 숫자 및 기호 =
{| class="wikitable"
|| '''숫자''' || '''읽기'''
|-
|| 1 ||하나
|-
|| 2 ||둘
|-
|| 3 ||삼
|-
|| 4 ||넷
|-
|| 5 ||오
|-
|| 6 ||여섯
|-
|| 7 ||칠
|-
|| 8 ||팔
|-
|| 9 ||아홉
|-
|| 0 ||공
|}


|| '''숫자 및 기호''' || '''약어''' ||<-2> '''발음방법''' ||
== 아마추어 무선에서 ==
|| 0 ||NADAZERO||나다제로||NAH-DAH-ZAY-ROH||
주로 호출 부호를 말할 때 사용하며, 이 때 숫자는 ITU 표준이 아닌 일반적인 영어 발음으로 읽는다. 'HL1ABC'"Hotel Lima One Alfa Bravo Charlie"으로 읽는 방식.</br>
|| 1 ||UNAONE||우나원||OO-NAH-WUN||
== 여담 ==
|| 2 ||BISSOTWO||비소투||BEES-SOH-TOO||
* 본문의 모든 통화약어표는 이 문서 작성 시점의 중앙전파관리소 행정규칙에 따라 작성되었다.
|| 3 ||TERRATHREE||테라쓰리 또는 테라트리||TAY-RAH-TREE||
* 대부분 'A'를 ALPHA로 알고 있는데 ITU 표준은 '''ALFA'''로 되어 있다. 영어 중심보다는 라틴어권 전체에서 보편적인 쪽을 채택하는 편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 4 ||KARTEFOUR||카테포 또는 카테포어||KAR-TAY-FOWER||
* Quebec은 퀘벡이라고 쓰지만 규정 발음은 '케벡'이다.
|| 5 ||PANTAFIVE||판타파이브||PAN-TAH-FIVE||
*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에 'Z'의 약어가 'JULU'로 적혀 있는 것은 중앙전파관리소의 오기로 보인다. 발음은 'ZOO LOO'로 제대로 적혀 있다. ITU 표준 약어는 'ZULU'이며 남아프리카 원주민 종족 중 하나인 줄루족을 가리키는 말.
|| 6 ||SOXISIX||속시식스||SOK-SEE-SIX||
* '3'을 TREE로 읽는 것은 무성음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고, '9'를 NINER로 읽는 것은 부정의 뜻을 지닌 독일어 nein과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 7 ||SETTESEVEN||세테세븐||SAY-TAY-SEVEN||
* 국가나 기관, 분야등에 따라 일부 다르거나 변형해서 쓰기도 한다.  
|| 8 ||OKTOEIGHT||옥토에이트||OK-TOH-AIT||
** 항공 분야에서는 델타항공과의 오인을 막기 위해 D를 DELTA 대신 DATA, DIXIE, DAVID 등으로 읽는다.
|| 9 ||NOVENINE||노베나이너||NO-VAY-NINER||
** 항공 분야 규정에서는 5를 FIFE로 읽으며, X-RAY의 두번째 음절 및 JULIETT의 세번째 음절의 강세가 없다.
|| 소수점 ||DECIMAL||데시멀 또는 데시말||DAY-SEE-MAL||
** LIMA는 인도네시아어로 숫자 '5'를 뜻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등지의 공항에서는 L을 LONDON으로 읽는다. 또한 이슬람이 국교인 국가는 음주가 금지되어 있으므로 W를 WASHINGTON 또는 WHITE라고 읽는다.
|| 종지부 ||STOP||스톱||||
** 일본의 아마추어국은 JULIETT 대신 JAPAN, YANKEE 대신 YOKOHAMA로 읽는 경우가 잦다. 이런 경우 표준 통화약어로 응답해주는 게 좋다.
 
= 아마추어 무선에서 =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보통 호출부호를 말할 때 사용한다. 호출부호를 말할 대부분 숫자는 그냥 영어 발음으로 말한다. 'HL1'"호텔 리마 원"으로 읽는 .</br>
 
* 위 표의 발음이 표준이지만 국내 아마추어 무선에선 '챠리', '큐벡', '주루'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 환경에 따라 나라나 기관마다 약간 변형해서 쓰기도 한다.  
  * 공항에 델타 항공이 취역하는 경우 헷갈리지 않기 위해 D를 Delta 대신 Data, Dixie, David 등으로 읽는다.
  * Lima는 인도네시아어로 숫자 '5'를 뜻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어를 쓰는 공항에서는 L을 London으로 읽는다.
  * 이슬람 국가에서는 음주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W를 Washinton 또는 White라고 읽는다.
  * 일본에서는 Yankee 대신 Yokohama, Jullet 대신 Japan을 쓰기도 한다. 이런 경우 표준 통화약어로 응답해주는 게 좋다.

2023년 3월 22일 (수) 10:01 기준 최신판


개요

교신 중 소음이나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단어의 철자를 정확하게 전달할 때 사용하는 통화 약어로, '포네틱(phonetic) 코드'라고도 한다.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부문)에서 국제 표준 권고안#을 제정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채용하여 중앙전파관리소 고시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 및 별표 1.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모르스부호·약어 및 통화표'#를 통해 규정하고 있다.
군에서 통신병이나 포병 등으로 복무한 사람에게 익숙한 개념이다.

영문 통화표

※ 밑줄은 강세
-
문자읽기한글발음영문발음
|-
AAlfaAL FAH
|-
BBravo브라BRAH VOH
|-
CCharlie리 또는 CHAR LEE 또는 SHAR LEE
|-
DDeltaDELL TAH
|-
EEchoECK OH
|-
FFoxtrot폭스트롯FOKS TROT
|-
GGolf골프GOLF
|-
HHotelHOH TELL
|-
IIndia디아IN DEE AH
|-
JJuliett 또는 JEW LEE ETT
|-
KKilo로 또는 KEY LOH
|-
LLimaLEE MAH
|-
MMike마이크MIKE
|-
NNovemberNO VEM BER
|-
OOscar오스OSS CAH
|-
PPapaPAH PAH
|-
QQuebecKEH BECK
|-
RRomeo미오 또는 메오ROW ME OH
|-
SSierraSEE AIR RAH
|-
TTangoTANG GO
|-
UUniform니폼 또는 니폼YOU NEE FORM 또는 OO NEE FORM
|-
VVictor터 또는 VIK TAH
|-
WWhiskey위스WISS KEY
|-
XX-ray엑스레이ECKS RAY
|-
YYankeeYANG KEY
|-
ZZulu루 또는 ZOO LOO
|}


{| class="wikitable sortable"
숫자/기호읽기한글발음영문발음
|-
0NADAZERO나다제로NAH-DAH-ZAY-ROH
|-
1UNAONE우나원OO-NAH-WUN
|-
2BISSOTWO비소투BEES-SOH-TOO
|-
3TERRATHREE테라쓰리 또는 테라트리TAY-RAH-TREE
|-
4KARTEFOUR카테포 또는 카테포어KAR-TAY-FOWER
|-
5PANTAFIVE판타파이브PAN-TAH-FIVE
|-
6SOXISIX속시식스SOK-SEE-SIX
|-
7SETTESEVEN세테세븐SAY-TAY-SEVEN
|-
8OKTOEIGHT옥토에이트OK-TOH-AIT
|-
9NOVENINE노베나이너NO-VAY-NINER
|-
소수점DECIMAL데시멀 또는 데시말DAY-SEE-MAL
| 종지부STOP스톱

국문 통화표

문자읽기활용법문자읽기
기러기기러기의 기역아버지
나포리나포리의 니은야자수
도라지도라지의 디귿어머니
로오마로오마의 리을연못
미나리미나리의 미음오징어
바가지바가지의 비읍요지경
서울서울의 시옷우편
잉어잉어의 이응유달산
지게지게의 지읒은방울
치마치마의 치옻이순신
키다리키다리의 키읔앵무새
통신통신의 티읕엑스레이
파고다
한강
숫자
1
2
3
4
5
6
7
8
9
0

아마추어 무선에서

주로 호출 부호를 말할 때 사용하며, 이 때 숫자는 ITU 표준이 아닌 일반적인 영어 발음으로 읽는다. 'HL1ABC'을 "Hotel Lima One Alfa Bravo Charlie"으로 읽는 방식.

여담

  • 본문의 모든 통화약어표는 이 문서 작성 시점의 중앙전파관리소 행정규칙에 따라 작성되었다.
  • 대부분 'A'를 ALPHA로 알고 있는데 ITU 표준은 ALFA로 되어 있다. 영어 중심보다는 라틴어권 전체에서 보편적인 쪽을 채택하는 편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 Quebec은 퀘벡이라고 쓰지만 규정 발음은 '케벡'이다.
  •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에 'Z'의 약어가 'JULU'로 적혀 있는 것은 중앙전파관리소의 오기로 보인다. 발음은 'ZOO LOO'로 제대로 적혀 있다. ITU 표준 약어는 'ZULU'이며 남아프리카 원주민 종족 중 하나인 줄루족을 가리키는 말.
  • '3'을 TREE로 읽는 것은 무성음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고, '9'를 NINER로 읽는 것은 부정의 뜻을 지닌 독일어 nein과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 국가나 기관, 분야등에 따라 일부 다르거나 변형해서 쓰기도 한다.
    • 항공 분야에서는 델타항공과의 오인을 막기 위해 D를 DELTA 대신 DATA, DIXIE, DAVID 등으로 읽는다.
    • 항공 분야 규정에서는 5를 FIFE로 읽으며, X-RAY의 두번째 음절 및 JULIETT의 세번째 음절의 강세가 없다.
    • LIMA는 인도네시아어로 숫자 '5'를 뜻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등지의 공항에서는 L을 LONDON으로 읽는다. 또한 이슬람이 국교인 국가는 음주가 금지되어 있으므로 W를 WASHINGTON 또는 WHITE라고 읽는다.
    • 일본의 아마추어국은 JULIETT 대신 JAPAN, YANKEE 대신 YOKOHAMA로 읽는 경우가 잦다. 이런 경우 표준 통화약어로 응답해주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