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계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편집중
편집중
리피터에서 넘어올 수 있게 해두었으면 좋겠습니다.   
리피터에서 넘어올 수 있게 해두었으면 좋겠습니다.   
1. 개요
중계기(리피터, Repeater)
아마추어 무선에서 쓰는 중계기는 광역망과 지역망으로 나뉘어져있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관리를 맡고 있다.
광역망은 국가 재난 및 재해 상황시 사용되는 긴급 연락망이다.


2. 중계기 사용하기
2. 중계기 사용하기
48번째 줄: 4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다시 송신하는 장비이다.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다시 송신하는 장비이다.
중계기(리피터, Repeater)
아마추어 무선에서 쓰는 중계기는 광역망과 지역망으로 나뉘어져있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관리를 맡고 있다.
광역망은 국가 재난 및 재해 상황시 사용되는 긴급 연락망이다.


= 종류 =
= 종류 =

2022년 1월 14일 (금) 07:40 판

편집중
리피터에서 넘어올 수 있게 해두었으면 좋겠습니다.

2. 중계기 사용하기
-1. 톤과 오프셋, 쉬프트는 무엇인가
중계기를 사용할때는 톤 설정 및 오프셋 주파수, 오프셋 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톤은 CTCSS 및 DSC가 있으며, 흔히 말하는 톤은 CTCSS를 의미한다. DSC는 디지털 방식으로 보내는 톤이다.
톤은 주로 88.5Hz를 사용한다.
중계기는 송신 수신 주파수가 다르다. 그렇기에 오프셋 주파수와 오프셋 방향을 설정하여야한다. 흔히 쉬프트(SHIFT)라고 표현한다.
송신주파수는 수신주파수에서 오프셋 주파수에 의해 쉬프트된다. 오프셋 주파수는 얼마만큼 쉬프트 할 것인지, 오프셋 방향은 어디 방향으로 내릴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중계기의 주파수가 UHF의 경우 주로 - 5.0MHz를 쉬프트하게 된다. 오프셋 주파수는 5.0MHz이고, 오프셋 방향은 (-)이다.
아래 중계기 사용 세팅법 사용 예시에서 예시를 들어보겠다.
-2. 중계기 사용 세팅법
중계기를 사용하기 위해 세팅해야될 것은
1. 수신주파수(RX)
2. 오프셋 주파수
3. 오프셋 방향
4. 톤
이렇게 4가지이다.
무전기별로 세팅법은 다르나, 중계기 표를 보고 위와같이 4개를 설정해주면 된다.
-3. 중계기 사용 예시
A라는 중계기에 접속을 해보려고 한다는 가정하에 아래와 같이 단계를 밟아보자.
A 중계기의 사양은 RX 439.820MHz, TX 434.820MHz, SHIFT -5, Tone 88.5이다. RX(수신)와 TX(송신)의 차이가 쉬프트(오프셋)이다.
1. 무전기의 주파수를 439.820으로 맞춘다.
2. 톤 설정으로 들어가 톤을 켜주고 RX및 TX톤을 88.5로 설정해준다. CTCSS로 톤을 설정하자.
3. 오프셋 설정으로 들어가 오프셋을 켜준다. 오프셋 주파수는 5.0MHz로 설정해주고 오프셋 방향을 (-)로 설정한다.
4. 테스트 송신을 해본다. PTT를 누를경우 송신 주파수가 434.820으로 나가는지 확인한다. 무전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주파수가 바뀌지 않는 경우도 있다. 테스트 통신 전에 수십초 와치를 통하여 중계기 사용 인원이 있는지 확인, 이후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자.
5, 테스트 송신이 완료되었으면 CQ를 내거나 개별 호출을 통하여 교신을 하면 된다.
-4. 중계기 사용 예절
중계기는 광역 혹은 지역의 모든 무선사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공자산이다. 이에 중계기를 사용할때는 다이렉트 교신보다 더욱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1. 중계기를 상시 점유하지 말자. 특히 지역망에서 택시기사들이 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인한 아마추어 무선인들의 불만이 거세다.
2. 중계기 교신은 신속하고 빨리 끝내자. 중계기는 다이렉트 교신이 아니기에 내가 점유하면 타인은 교신을 하지 못한다. 신속하게 교신하고 여러 국에게 양보하는 무선인이 되도록하자.
3. PTT사고에 유의하자. 모든 밴드에서 지켜져야할 규칙이나, 중계기나 콜 주파수와 같이 대체제가 없는 곳에서는 PTT사고가 다른 무선인들의 소통에 방해가되는 중대한 사고이다.
4. 특히나 광역망은 재난재해시 사용되는 긴급 연락망인만큼, 위급한 상황시 사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사용을 자제하는것이 권장되며(원칙상 사용하면 안되나, 사용 여부에 관한 논란이 존재하고 있다), 신속한 교신 종료 및 PTT사고에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이다.
-5. 전국 광역망 및 지역망 중계기 현황
(언냐들 표 넣어줘ㅠㅠ)

3. 중계기 사용에 관한 논란
대충 광역망은 재난이 어쩌고 한데 틀딱들이 사랑방으로 점유하니까 문제라는 말


개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다시 송신하는 장비이다.
중계기(리피터, Repeater)
아마추어 무선에서 쓰는 중계기는 광역망과 지역망으로 나뉘어져있다.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관리를 맡고 있다.
광역망은 국가 재난 및 재해 상황시 사용되는 긴급 연락망이다.

종류

지역망 중계기


호출부호 송신 주파수(MHz) 수신 주파수(MHz) 톤코드(Hz) 설치장소

광역망 중계기


호출부호 송신 주파수(MHz) 수신 주파수(MHz) 톤코드(Hz) 설치장소

DMR 중계기


호출부호 송신 주파수(MHz) 수신 주파수(MHz) 톤코드(Hz) 설치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