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보안/아마추어 3급 기출: 두 판 사이의 차이

154번째 줄: 154번째 줄:


=2019년=
=2019년=
==1회 전신급1형==
==1회 전신급2형==
=2018년=
==4회 전신급2형==

2022년 1월 21일 (금) 19:29 판


본 문서의 모든 기출문제에 대한 권리는 KCA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있음을 알립니다.

2020년

1회


1
다음 중 통신보안이 필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무선통신의 고도화에 따라 그 이용도가 날로 증가하기 때문
무선통신의 이용증가에 따라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되고 있으므로
통신정보 수집을 위하여 각국에서는 도청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므로
통신보안은 공격적, 양성적, 적극적이므로

2
다음 중 1급 비밀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국가방위 및 외교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항
국가 또는 우방국에게 무력침공이나 전쟁을 유발하게 하는 사항
국가방위계획 및 그 효과를 매우 위태롭게 하는 사항
국가정보작전 및 특수적인 국내정보활동에 관한 사항

3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의 통신보안교육 이수 주기는?

5년마다 1회
3년마다 1회
5년마다 2회
3년마다 2회

4
다음 중 음향통신에 사용하는 수단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호각
전등
나팔

5
다음 중 암호해독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암호의 내용을 암호자재에 의하여 알아내는 것
평문전문을 암호로 송신하는 것
암호의 내용을 암호자재 없이 알아내는 것
암호의 전문을 평문으로 송신하는 것

6
다음 중 통신할 때 암어를 사용할 수 없는 무선국은?

실험국, 아마추어국
기지국, 육상이동국
항공국, 항공기국
육상국, 이동국

7
다음 중 통신보안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문서보안
자재보안
송신보안
암호보안

8
다음 중 이동전화에 대한 통신보안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무선국 허가사항 준수
무선종사자에 대한 통신보안 교육 이수
필요이상의 무선통신 사용억제
고출력 송신으로 통화범위 확대

9
다음 중 각급기관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암호자재를 제작하여 필요한 기관에 공급하는 곳은?

방송통신위원회
검찰청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10
다음 중 도청에 대한 방어대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한다.
고출력으로 전파를 발사한다.
상대방의 통신 특성을 세밀히 파악한다.
통신시간과 통신량을 조정한다.


4회


1
암호 또는 음어의 사용목적은 무엇인가?

중요내용에 대한 도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요내용을 감추기 위하여
통신내용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통신내용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2
다음 중 통신보안상 가장 취약한 주파수대는?

VHF
UHF
HF
SHF

3
다음 중 시호통시의 취약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기상 영향에 따라 시계의 제한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
적에게 기만, 역이용 당할 우려
피습 당할 우려

4
다음 통신방식 중 편리성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보안성이 가장 취약한 것은?

전령통신
우편통신
시호통신
전기통신

5
발사하는 전파를 탐지하여 송신소의 위치를 알아내는 수단은?

송신탐지
방향탐지
전파탐지
방해탐지

6
통신정보자료를 사람이 직접 휴대하여 전달하는 통신수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전령통신
음향통신
정보통신
전기통신

7
다음 중 방해통신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예비 주파수로 전환한다.
송신출력을 낮춘다.
상대 통신사의 성격을 파악한다.
고가의 통신장비를 사용한다.

8
다음 중 무선통신망의 통신보안 강화대책으로 옳은 것은?

통신소의 위치를 수시로 바꾼다.
중요내용이나 비밀을 평문으로 통화한다.
무선통신이용자에게 보안의식을 고취시킨다.
무선통신이용자를 수시로 교체한다.

9
다음 중 통신보안 책임자의 임무로 옳지 않은 것은?

무선 통신을 이용할 경우 사전에 보안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통신보안에 관한 관계규정을 정확히 숙지하여 이행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가급적 불필요한 무선통신의 사용은 억제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무선통신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평문으로 통신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10
다음 중 통신보안 준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필요이상의 무선통신 사용 억제
보호구역 출입통제 철저
비밀내용의 통신 시보안자재 사용
발신전문 전체에 대해 암호화 사용


2019년

1회 전신급1형

1회 전신급2형

2018년

4회 전신급2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