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RS: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APRS는 WB4APR이 만든 특정 지역의 가치있는 정보에 대해 실시간으로 지도에 표시해 주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APRS-IS== APRS-IS는 RF상의 APRS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호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prs.fi와 같이 APRS-IS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오는 제3의 사이트에서 APRS-IS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임의로 보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APRS는 WB4APR이 만든 특정 지역의 가치있는 정보에 대해 실시간으로 지도에 표시해 주는 시스템이다.
'''APRS'''('''Automatic Packet Reporting System''', 자동 패킷 보고 시스템)는 아마추어 무선을 기반으로 특정 지역의 가치있는 정보에 대해 실시간으로 지도에 표시해 주는 시스템이다. 데이터에는 사물의 GPS 좌표, 기상관측소 데이터, 문자메시지, 공지, 쿼리 및 기타 텔레메트리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ARPS의 데이터는 고정국(Station), 이동국의 트래킹, 기상관측소, 수색 및 구조 데이터와 같은 것들을 지도에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ARPS는 1980년대 후반부터 Bob Bruninga, 호출부호 WB4APR 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는 여전히 주요 ARPS 웹사이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ARPS라는 이름은 그의 호출부호로 부터 파생되었다.


==APRS-IS==
==APRS-IS==

2022년 2월 2일 (수) 23:16 판

APRS(Automatic Packet Reporting System, 자동 패킷 보고 시스템)는 아마추어 무선을 기반으로 특정 지역의 가치있는 정보에 대해 실시간으로 지도에 표시해 주는 시스템이다. 데이터에는 사물의 GPS 좌표, 기상관측소 데이터, 문자메시지, 공지, 쿼리 및 기타 텔레메트리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ARPS의 데이터는 고정국(Station), 이동국의 트래킹, 기상관측소, 수색 및 구조 데이터와 같은 것들을 지도에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ARPS는 1980년대 후반부터 Bob Bruninga, 호출부호 WB4APR 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는 여전히 주요 ARPS 웹사이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ARPS라는 이름은 그의 호출부호로 부터 파생되었다.

APRS-IS

APRS-IS는 RF상의 APRS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호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prs.fi와 같이 APRS-IS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오는 제3의 사이트에서 APRS-IS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임의로 보관 할 수 있으니 APRS송신시 유의하여야 한다.

비밀번호

APRS-IS에 접속해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아마추어 무선사로부터 보낸것이라는 보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패스코드가 있어야 한다.
콜사인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비밀번호를 계산해주는 사이트도 있지만
APRS-IS.NET에 따르면 작성자는 아마추어 무선사에게만 패스코드를 발급할 의무가 있다고 되어 있으며
일부 사람은 자동 비빌번호 출력 사이트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RF

APRS.ORG사이트에는 국내 APRS주파수가 144.62MHz로 되어 있으나 현재 강원권의 중계기에서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KARL 밴드플랜에서도 크로스밴드 중계기 주파수로 배정돼 있다.
RF신호를 APRS-IS로 전송해 주는 것을 IGATE라고 하는데, 국내에는 IGATE는 없고 바로 APRS-IS로 데이터를 보낸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반면 일본에는 상당히 활성화가 잘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