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공학/아마추어 1급 기출문제: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2번째 줄:
=2019년=
=2019년=


==1회 1형==
<quiz display=simple>
{“코일에 60Hz, 10V의 교류전압을 가했더니 1A의 전류가 흐른다. 이 코일의 인덕턴스는?"
|type="()"}
- 8.3mH
- 13.3mH
+ 26.5mH
- 62.3mH
{“Ge. Si 등 4개의 자유전자를 가진 (A) 결정에 5개의 자유전자를 가진 불순물을 첨가하면 (B) 반도체를 만들 수 있고, (A)결정에 3개의 자유전자를 가지는 불순물을 첨가하면 (C)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중 (A)-(B)-(C) 로 알맞은 것은?"
|type="()"}
- 절연체, N형, P형
- 절연체, P형, N형
+ 반도체, N형, P형
{“다음 중 무선송신기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type="()"}
+ 점유주파수대폭이 넓을 것
- 불필요한 스퓨어리스 방사가 적을 것
- 외부의 온도 습도의 변화의 영향이 적을 것
- 안테나 공급전력은 항상 안정하고 확실할 것
{“SSB송신기의 변조입력이 없을 때, 송출되는 전력으로 알맞은 것은?"
|type="()"}
- 반송파전력
- 반송파전력의 절반
- 반송파전력을 변조도의 절반에 1을 더한 값으로 나눈 것
+ 없음(zero)
{“다음 중 패킷(packet)통신의 특징으로 올바르지 <b><u>않은</u></b>것은?"
|type="()"}
- 신뢰성이 높다
-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국제적으로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따
+ 통신망 구축에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다음 중 수신기 중간주파수를 높게 선정한 경우의 장점으로 올바르지 <b><u>않은</u></b>것은?"
|type="()"}
- 영상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된다
- 충실도가 개선된다
- 인입현상이 개선된다
+ 감도 및 안정도가 향상된다
{“SSB수신기에서 speech clarifier를 사용하는 이유는?"
|type="()"}
- 수신기 이득을 높이기 위해
- 수신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상 편의를 위하여
- 수신기의 증폭도를 높이기 위해
+ 반송파와 수신기 국부발진주파수의 편자를 적게 하려고
{“다음 중 FM송신기의 전펵증폭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증폭방식은?"
|type="()"}
- AB급
- A급
- B급
+ C급
{“다음 중 교류를 측정할 수 <b><u>없는</u></b> 계기는?"
|type="()"}
- 가동철편형
- 열전대형
- 전류역계형
+ 가동선륜형
{“다음 중 스펙트럼분석기의 구성요소가 <b><u>아닌</u></b>것은?"
|type="()"}
+ Loop antenna
- Mixer
- envelope detector
- IF filter
{“다음 계기 중 열전효과를 이용한 것은?"
|type="()"}
- 양극 전류계
+ 안테나 전류계
- 변조도계
- 그리드 전류계
<!-- 33번 문항 다이오드 그림 포함하여 작업 필요 -->
{“다음 중 장중파대 방송 및 이동 무선통신용에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로 적합한 것은?"
|type="()"}
+ 수직접지 안테나
- 브라운 안테나
- 야기 안테나
- 롬빅 안테나
{“다음 중 Counter poise 접지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type="()"}
- 안테나의 길이가 너무 길 때
- 안테나가 짧아 적정 출력을 얻기 힘들 때
- 장소가 협소할 때
+ 안테나와 대지간의 접지가 어려울 때
{“평형 안테나에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려면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 가?"
|type="()"}
- 로딩 코일
+ 발룬
- 토로이달 코어
- 별다른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직접 연결하면 된다
{“도파관의 분기를 위하여 이용하는 설비는?"
|type="()"}
- 무반사 종단기
- 서큘레이터
- 리액턴스관
+ 매직 티
{“다음 중 비동조 급전선의 특징이 <b><u>아닌</u></b> 것은?"
|type="()"}
+ 정합장치가 필요없다
- 급전선의 거리가 멀고 대전력 전송에 이용된다
- 급전선에 의한 손실이 적다
- 급전선상에는 정재파를 없애고 진행파만 존재한다
{“다음 정류기 중 전압 맥동률이 가장 적은 방식은?"
|type="()"}
- 3상 반파 방식
- 단상 반파 방식
+ 3상 전파 방식
- 단상 전파 방식
</quiz>





2022년 2월 17일 (목) 11:33 판

본 문서의 모든 기출문제에 대한 권리는 KCA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 있음을 알립니다.

2019년

1회 1형


1
“코일에 60Hz, 10V의 교류전압을 가했더니 1A의 전류가 흐른다. 이 코일의 인덕턴스는?"

8.3mH
13.3mH
26.5mH
62.3mH

2
“Ge. Si 등 4개의 자유전자를 가진 (A) 결정에 5개의 자유전자를 가진 불순물을 첨가하면 (B) 반도체를 만들 수 있고, (A)결정에 3개의 자유전자를 가지는 불순물을 첨가하면 (C)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중 (A)-(B)-(C) 로 알맞은 것은?"

절연체, N형, P형
절연체, P형, N형
반도체, N형, P형

3
“다음 중 무선송신기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점유주파수대폭이 넓을 것
불필요한 스퓨어리스 방사가 적을 것
외부의 온도 습도의 변화의 영향이 적을 것
안테나 공급전력은 항상 안정하고 확실할 것

4
“SSB송신기의 변조입력이 없을 때, 송출되는 전력으로 알맞은 것은?"

반송파전력
반송파전력의 절반
반송파전력을 변조도의 절반에 1을 더한 값으로 나눈 것
없음(zero)

5
“다음 중 패킷(packet)통신의 특징으로 올바르지 않은것은?"

신뢰성이 높다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국제적으로 프로토콜이 표준화되어 있따
통신망 구축에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6
“다음 중 수신기 중간주파수를 높게 선정한 경우의 장점으로 올바르지 않은것은?"

영상주파수 선택도가 개선된다
충실도가 개선된다
인입현상이 개선된다
감도 및 안정도가 향상된다

7
“SSB수신기에서 speech clarifier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신기 이득을 높이기 위해
수신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상 편의를 위하여
수신기의 증폭도를 높이기 위해
반송파와 수신기 국부발진주파수의 편자를 적게 하려고

8
“다음 중 FM송신기의 전펵증폭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증폭방식은?"

AB급
A급
B급
C급

9
“다음 중 교류를 측정할 수 없는 계기는?"

가동철편형
열전대형
전류역계형
가동선륜형

10
“다음 중 스펙트럼분석기의 구성요소가 아닌것은?"

Loop antenna
Mixer
envelope detector
IF filter

11
“다음 계기 중 열전효과를 이용한 것은?"

양극 전류계
안테나 전류계
변조도계
그리드 전류계

12
“다음 중 장중파대 방송 및 이동 무선통신용에 주로 사용되는 안테나로 적합한 것은?"

수직접지 안테나
브라운 안테나
야기 안테나
롬빅 안테나

13
“다음 중 Counter poise 접지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안테나의 길이가 너무 길 때
안테나가 짧아 적정 출력을 얻기 힘들 때
장소가 협소할 때
안테나와 대지간의 접지가 어려울 때

14
“평형 안테나에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려면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 가?"

로딩 코일
발룬
토로이달 코어
별다른 부품이 필요하지 않고 직접 연결하면 된다

15
“도파관의 분기를 위하여 이용하는 설비는?"

무반사 종단기
서큘레이터
리액턴스관
매직 티

16
“다음 중 비동조 급전선의 특징이 아닌 것은?"

정합장치가 필요없다
급전선의 거리가 멀고 대전력 전송에 이용된다
급전선에 의한 손실이 적다
급전선상에는 정재파를 없애고 진행파만 존재한다

17
“다음 정류기 중 전압 맥동률이 가장 적은 방식은?"

3상 반파 방식
단상 반파 방식
3상 전파 방식
단상 전파 방식


4회 1형


1
“전압 증폭도가 각각 10배, 100배인 저주파증폭기를 직렬 접속한 경우 종합 증폭도는?"

10[dB]
20[dB]
60[dB]
80[dB]

2
“정현파전류의 평균치는 최대치의 몇 배인가?"

[math]\displaystyle{ 1/2 }[/math]
[math]\displaystyle{ 1/\sqrt{2} }[/math]
[math]\displaystyle{ 2/\pi }[/math]
[math]\displaystyle{ 1/\pi }[/math]

3
“다음 중 수신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주파수 변환부
복조기
저주파증폭기
전력증폭기

4
“직렬공진주파수 fs, 병렬공진주파수 fp라 할 때 수정발진기에서 안정한 발진을 할 수 있는 주파수(f)의 범위로 올바른 것은?"

f > fs > fp
fp < f < fs
f < fp < fs
fs < f < fp

5
“송신기의 주파수 체배기는 어떤 목적으로 이용되는가?"

발진하는 주파수가 변동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진주파수로부터 저조파를 분리하기 위하여
고조파에 동조시켜 이것을 여합체배하기 위하여
발진주파수를 정수배하여 얻고자 하는 주파수를 얻기 위하여

6
“진폭변조방식의 전반송파 단측파대 무선전화의 기호로 올바른 것은?"

J3E
R3E
H3E
F3E

7
“FM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Pre-emphasis와 De-emphasis 회로의 주된 목적으로 올바른 것은?"

과변조 방지
고주파 특성개선
안테나 이득 향상
점유주파수대폭 감소

8
“수신기에 고주파 증폭회로를 사용하였을 때 장점이 아닌 것은?"

중간주파수로 변환
선택도 향상
신호대 잡음비 개선
이득 증대

9
“다음 중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스퓨리어스 방사의 방지책으로 읋은 것은?"

전력 증폭관의 전압을 크게 한다.
발진 주파수를 낮춘다.
전력 증폭관의 여진 전압을 작게 한다.
피변조관의 양극 전압을 높인다.

10
“우리나라에서 측정의 기준이 되는 주파수의 국가표준을 관장하는 곳은?"

방송통신위원회
국가정보원
표준과학연구원
국립전파연구원

11
“15[MHz]의 전파의 파장을 측정하는 경우 레헤르선(lecher wire)의 길이는 얼마인가?"

0.5[m]
1[m]
10[m]
20[m]

12
“다음 중 수신기의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변조도 측정
충실도 측정
잡음 지수 측정
선택도 측정

13
“다음 중 고주파 측정시 주의해야할 사항이 아닌것은?"

측정기 lead line을 짧게 한다.
접지를 철저히 한다.
전원주파수 리플을 일정하게 한다.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14
“동축케이블의 명칙 7C2V에서 의미하는 것 중 틀린 것은?"

7 : 내부도체의 외경
C : 임피던스가 75[[math]\displaystyle{ \Omega }[/math]]
2 : 폴리에틸렌 절연재
V : 1중 외부도체 PVC

15
“다음 중 송신선에서 속도계수를 결정하는 요소로 올바른 것은?"

종단 임피던스
송신선의 길이
송신선의 유전체
중심도체의 저항

16
“안테나 전류를 각 분구에 똑같이 흘려서 안테나 전류가 지저부에 밀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방사상 접지
다중접지
비접지
저항접지

17
“초단파 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안테나로서 지향성이 예민한 것은 어느 것인가?"

턴 스타일 안테나
휩 안테나
야기 안테나
디스크콘(Disc-cone) 안테나

18
“나선형 안테나라고 불리며, 100[MHz] ~ 1000[MHz] 정도의 광대역 특성을 가져 TV나 초단파 방송에 사용하는 안테나는?"

휩 안테나
야기 얀테나
헬리컬 안테나
수직접지 안테나

19
“유도성 평활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맥동률은 임피던스에 비례한다.
맥동률은 부하저항이 적을수록 작아진다.
부하전류가 클수록 맥동률이 작아진다.
쵸크 입력형 여과기와 콘덴서 입력형 여과기가 있다.

20
“정류회로의 양단평균전압이 250[V]이고 맥동률이 3.6%이다. 이 때 교류분의 전압은?"

4[V]
6[V]
9[V]
12[V]


2020년

1회 1형


1
“Emitter-Follower의 특징은?"

전압증폭이 작다
출력저항이 크다
전류증폭이 작다
입력저항이 작다

2
“다음 중 도선의 전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면적에 비례하고 길이에 반비례한다.
단면적에 반비례하고 길이에 비례한다.
단면적과 길이에 비례한다.
단면적과 길이에 반비례한다.

3
“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증폭단의 결합을 소결합으로 할 것
수퍼헤테로다인 수신방식을 사용할 것
동조호로의 Q를 높일 것
중간주파수를 낮은 주파수로 할 것

4
“주파수 30MHz인 전파의 파장은?"

5m
10m
7m
12m

5
“마이크로파 다중화방식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은?"

시분할방식
주파수분할방식
공간분할방식
위상분할방식

6
“다음 중 FM수신기에서 Squelch 볼륨을 올리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감도는 좋아지고 잡음은 줄어든다.
감도는 나빠지고 잡음은 늘어난다.
감도는 나빠지고 잡음은 줄어든다.
감도는 좋아지고 잡음도 늘어난다.

7
“다음 중 SSB 송신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송파억압변조기는 어느 것인가?"

암스트롱변조기
평형변조기
주파수변조기
음성변조기

8
“2kW의 송신기 출력을 전송할 때, 송신기 출력이 3[dB] 증가하였다면 출력은 몇 kW인가?"

3kW
4kW
6kW
8kW

9
“댜음 중 주파수 안정도가 가장 높은 발진기는 어느 것인가?"

음차발진기
CR발진기
수정발진기
컬렉터 동조 발진기

10
“FM수신기의 주파수 변별 회로의 특성을 측정하는 요령으로 맞는 것은?"

입력전압의 크기에 대한 출력 주파수 변화를 구한다.
입력전압의 주파수 변화량에 대한 출력 전압의 주파수 변화를 구한다.
입력전압의 주파수 변화량에 대한 출력 전압의 크기를 구한다.
입력전압의 크기에 대한 출력 전압의 크기를 구한다.

11
“측전하고자 하는 양을 기본단위인 길이, 시간의 측정으로부터 구하는 방법은?"

직접측정
간접측정
비교측정
절대측정

12
“다음 중 FM송신기 전력 측정법에 해당하는 것은?"

수부하에 의한 방법
전구의 조도에 의한 측정
C-M 방향성 결합기에 의한 방법
열방사계에 의한 측정

13
“다음 중 측정기에서 배율기를 사용하는 목적은?"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
측정전력을 적게 소비하기 위한 것
고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

14
“다음 중 WHIP 안테나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수직연내 지향특성은 반구 특성을 가진다.
복사저항이 38Ω 정도로 동축케이블에 직접 적송하여 사용할 수 있다.
주로 이동체 안테나로 많이 사용한다.
[math]\displaystyle{ \lambda / 2 }[/math] 다이폴 안테나와 등가이다.

15
“전파를 수신할 때 두 개 이상의 다른 경로를 거쳐 수신되는 경우 발생하는 페이딩은?"

간섭성 페이딩
편파성 페이딩
흡수성 페이딩
선택성 페이딩

16
[math]\displaystyle{ \lambda / 4 }[/math]수직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대략 얼마인가?"

18.25[[math]\displaystyle{ \Omega }[/math]]
36.56[[math]\displaystyle{ \Omega }[/math]]
73.13[[math]\displaystyle{ \Omega }[/math]]
146.23[[math]\displaystyle{ \Omega }[/math]]

17
“안테나의 손실저항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안테나와 대지와의 접촉저항을 이르는 말은?"

도체저항
유전체손
접지저항
코로나손

18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 2엘리멘탈 큐비칼 쿼드(Cubical Quad)안테나의 이득은 얼마인가?"

약 0.6[dB]
약 3[dB]
약 6[dB]
약 9[dB]

19
“100[V], 500[W]의 전열기를 80[V]로 사용하였을 때, 소비전력은 얼미안기?"

240[W]
320[W]
400[W]
480[W]

20
“다음 중 병렬형 정전압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출력단자가 단락되더라도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지 않는다.
효율이 높다.
부하의 변통폭을 크게 할 수 있다.


4회 2형


1
“증폭기의 이득 대역폭 곱(GB)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중역주파수의 이득과 CR결합회로의 차단주파수와의 곱이다.
GB곱이 클수록 광대역 증폭기를 만들기 쉽다.
GB곱이 120Mhz 때 B가 10MHz라면 이득은 12이다.
저주파증폭기 설계에 유효하다.

2
“직렬공진회로에서 실효저항을 나타내는 식은?"

[math]\displaystyle{ {R}_{e}= \frac{2\pi {f}_{c}}{Q} }[/math]
[math]\displaystyle{ {R}_{e}= \frac{1}{Q} }[/math]
[math]\displaystyle{ {R}_{e}= \frac{wL}{Q} }[/math]
[math]\displaystyle{ {R}_{e}= \frac{{w}^{2}L}{Q} }[/math]

3
“수신하고 있는 대역내에서 CW와 같은 단신호의 혼신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스위치는?"

노이즈 브랭커
스퀠치
마이크게인
노치필터

4
“다음 중 송신기의 구성요소 중 부속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발진부
제어장치
증폭부
전원부

5
“FM에서 최대주파수편이가 5kHz이고, 변조주파수편이가 2.5kHz일 때, 주파수 대역폭은?"

7.5kHz
10kHz
12.5kHz
15kHz

6
“중계국에서 수신한 마이크로파를 그대로 진행파관을 사용, 증폭하여 중계하는 방식으로서 일명 부스터(booster) 방식이라고 하는 것은?"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검파중계방식
무급전방식
직접중계방식

7
“다음 중 AM수신기의 감도 측정에 필요한 기기는?"

표준신호발생기
진폭제한기
필터
잡음발생기

8
“무선송신기에서 과변조 발생시 발생하는 현상은?"

출력이 변한다.
주파수가 변한다.
고조파가 적어진다.
왜율이 개선된다.

9
“다음 중 무선송신기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넓을 것
불필요한 스퓨리어스 방사가 적을 것
외부의 온도, 습도에 의한 변화가 적을 것
안테나 공급전력은 항상 안정적일것

10
“표준신호발생기의 출력 단자를 개방했을 때 출력이 40[dB]이라면 단자전압은 몇 [V] 인가?"

60[[math]\displaystyle{ \mu }[/math]V]
100[[math]\displaystyle{ \mu }[/math]V]
150[[math]\displaystyle{ \mu }[/math]V]
200[[math]\displaystyle{ \mu }[/math]V]

11
“다음 중 계기의 종류와 동작원리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가동철편형 : 자기장 내에 있는 철편에 작용하는 힘
유도형 : 자기장과 와전류의 상호작용
정전형 : 충전된 두 물체간에 작용하는 힘
가동코일형 : 열전쌍의 열기전력 이용

12
“다음 계기 중 주파수 특성이 가장 양호한 것은?"

열전대형
영구자석 가동코일형
가동철편형
전류력계형

13
“평행판 도체로 된 축전기의 전기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거리와 면적에 비례한다.
거리와 면적에 반비례한다.
거리에 반비례하고 면적에 비례한다.
거리에 비례하고 면적에 반비례한다.

14
“송신안테나로부터 2[km]에서 측정한 전계강도가 50[[math]\displaystyle{ \mu }[/math]V/m]이다. 5[km]에서의 전계강도로 올바른 것은?"

20[[math]\displaystyle{ \mu }[/math]V/m]
30[[math]\displaystyle{ \mu }[/math]V/m]
200[[math]\displaystyle{ \mu }[/math]V/m]
400[[math]\displaystyle{ \mu }[/math]V/m]

15
“전파의 도약거리(skip distan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임계주파수가 사용주파수보다 클 때 생긴다.
단파대에서 많이 생긴다.
주간과 야간의 도약거리가 다르다.
전리층의 이론적 높이에 비례한다.

16
“야기 안테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반사기, 방사기, 도파기로 구성된다.
다이폴 안테나에 비해 이득이 우수하다.
각 소자의 간격이 [math]\displaystyle{ \lambda / 4 }[/math] 보다 클 때 이득이 최대이다.
지향성은 투사기에서 도파기 쪽으로 향하는 단일 방향이다.

17
“10[MHz] 이상의 단파대에서 야기 안테나가 널리 사용된다. 그 이유로 알맞은 것은?"

단파대에서 복사각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다이폴이나 수직 안테나보다 설치가 용이하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부터의 혼신을 거의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단파대에서 가장 광대역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8
“송신주파수가 7.050[kHz]이고 출력 임피던스가 50[[math]\displaystyle{ \Omega }[/math]]인 송신기를 20[m] 떨어져 있는 안테나와 동축케이블로 접속할 때, 동축케이블의 종류와 길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RG-58, 20[m]
RG-58, 40[m]
RG-8, 28[m]
RG-11, 28[m]

19
“다음 중 접지봉 및 접지선 매설에 관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접지봉 간격은 접지봉 길이의 최소 2배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접지선은 강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굵기를 사용한다.
접지봉은 지하 25[cm]이상 깊이로 지역별 동결심도를 고려하여 매설한다.
접지봉의 리드선과 접지봉간을 연결하는 접지선은 연동연선을 사용한다.

20
“전압이 100[V]이고, 전류가 2[mA]일 때, 전력[W]은?"

0.2[W]
50[W]
100[W]
200[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