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1:3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Icom-logo.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1:24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핸디 무전기 문서를 분류:휴대용 무전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1:22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차량용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무전기#차량용 무전기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1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거치용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형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1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차량용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형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1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형태별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1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핸디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형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AM모드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모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CW모드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모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SSB모드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모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모드별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1:0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FM모드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모드별 무전기)
- 2022년 1월 18일 (화) 00:47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Baofeng UV-5R 문서를 Baofeng UV-5 시리즈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0:46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Baofe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Baofeng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무전기 제조회사이다. = 주요 제품 목록 = == 아나로그 무전기 == Baofeng GT-3 시리즈 Baofeng GT-5 시리즈 Baofeng UV-5 시리즈 Baofeng UV-82 시리즈 == 디지털 무전기 == Baofeng DM-1701 DMR Baofeng RD-5R DMR)
- 2022년 1월 18일 (화) 00:4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Baofeng의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wiki style="text-align:center; border: 2px solid #eb551e; background-color:#00469c; margin:0 auto; display:table" {{{#!wiki style="padding: 8px 16px;" 120px'''{{{#fff 의 무전기}}}'''}}}{{{#!wiki style="background-color:#eee;color:#1208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무전기''' - UV-5R }}}}}}}}})
- 2022년 1월 18일 (화) 00:33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Baofeng-logo.web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0:33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Baofeng-logo.webp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0:2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Yaesu의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wiki style="text-align:center; border: 2px solid #0565b0; background-color:#000; margin:0 auto; display:table" {{{#!wiki style="padding: 8px 16px;" 120px'''{{{#fff 의 무전기}}}'''}}}{{{#!wiki style="background-color:#eb551e;color:#1208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무전기''' - FT-817 }}}}}}}}})
- 2022년 1월 18일 (화) 00:2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Yaesu-logo.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8일 (화) 00:2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Yaesu-logo.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7일 (월) 23:25 Admin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Admin 문서를 보호했습니다 [편집=관리자만 허용] (무기한) [이동=관리자만 허용] (무기한) (역사)
- 2022년 1월 17일 (월) 23:25 Admin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Adm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WTF == 관리용 BOT)
- 2022년 1월 17일 (월) 23: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Alinco의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wiki style="text-align:center; border: 2px solid #000; background-color:#0565b0; margin:0 auto; display:table" {{{#!wiki style="padding: 8px 16px;" '''{{{#white Alinco의 무전기}}}'''}}}{{{#!wiki style="background-color:#FFF;color:#1208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핸디 무전기''' - DJ-MD5 / DJ-CRX }}}}}}}}})
- 2022년 1월 17일 (월) 23:0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햄린이/test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wiki style="text-align:center; border: 2px solid #000; background-color:#0565b0; margin:0 auto; display:table" {{{#!wiki style="padding: 8px 16px;" '''{{{#white Alinco의 무전기}}}'''}}}{{{#!wiki style="background-color:#FFF;color:#1208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핸디 무전기''' - DJ-MD5 / DJ-CRX }}}}}}}}})
- 2022년 1월 17일 (월) 22:3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Alinco logo.sv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7일 (월) 22:3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Alinco logo.sv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7일 (월) 22:03 Tsban 토론 기여님이 분류:전파법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빈 문서를 만듦)
- 2022년 1월 17일 (월) 21:50 Kta1540 토론 기여님이 H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전파)
- 2022년 1월 17일 (월) 21:50 Kta1540 토론 기여님이 UH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전파)
- 2022년 1월 17일 (월) 21:49 Kta1540 토론 기여님이 분류:전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clude(틀:전파)])
- 2022년 1월 17일 (월) 21:47 Kta1540 토론 기여님이 VH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Very High Frequency. 초단파라고 불리며 30MHz 초과, 300MHz 이하의 전파를 말한다. 파장의 길이는 약 2M이기 때문에 2M라고도 불린다. 사실상 아마추어 무선을 입문하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될 확률이 높은 전파 영역이며, 직관적이고 난이도가 낮은 사용 등으로 인해 꾸준히 쓰이는 대역이다.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140MHz대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국가들이 144-148MHz, 혹...)
- 2022년 1월 17일 (월) 19:57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전파법규/아마추어 1급 기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기출문제분류:전파법규분류:아마추어1급 <quiz display=simple> {다음 중 용어의 정의가 올바른 것은? (2018년4회) |type="()"} - "무선방향탐지"란 무선국 또는 물체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파를 송신하여 행하는 무선측위를 말한다. + "무선항행"이란 항행을 위하여 행하는 무선측위를 말한다. - "무선측위"란 전파의 전파특성을 이용하여 행하는 무선방향탐...)
- 2022년 1월 17일 (월) 19:56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전파법규/아마추어 3급 기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기출문제분류:전파법규분류:아마추어3급 <quiz display=simple> {“인체, 기자재, 무선설비 등을 둘러싸고 있는 전파의 세기, 잡음 등 전자파의 총체적인 분포 상황”을 무엇이라 하는가? |type="()"} - 무선환경 + 전파환경 - 전자파환경 - 주파수이용환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파자원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항이...)
- 2022년 1월 17일 (월) 18:29 HLteulddak 토론 기여님이 햄위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HAMWIKI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8:27 HLteulddak 토론 기여님이 Co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동축 케이블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8:26 HLteulddak 토론 기여님이 동축케이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동축 케이블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8:19 HLteulddak 토론 기여님이 동축 케이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요== RF 에너지를 방사 또는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 아마추어무선에서는 주로 50옴의 임피던스를 가진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다(TV 등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은 75옴의 임피던스이므로 주의한다). ==구성==)
- 2022년 1월 17일 (월) 17:57 HLteulddak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HLteuldda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실 난 HL국이 아니다.)
- 2022년 1월 17일 (월) 17:41 갈대 토론 기여님이 4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7:41 갈대 토론 기여님이 3급 전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7:41 갈대 토론 기여님이 3급 전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7:41 갈대 토론 기여님이 2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7:41 갈대 토론 기여님이 1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아마추어무선기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7일 (월) 17:32 Hienbn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7일 (월) 17:31 HLteulddak 토론 기여님이 FT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요== SSB 모드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음성을 매개로 하는 WSJT 디지털 교신 모드 중 하나. 주로 HF 대역, 일부 VHF 대역에서 사용된다. 가청대역 외의 신호를 활용하여 약한 신호를 컴퓨터로 해독할 수 있기에, 적은 출력으로도 장거리 교신이 가능하다. WSJT의 모드 중에는 FT4, FST4, JT4, JT9, JT65 등의 다양한 모드가 있으나, FT8이 가장 보편화되어 2017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 2022년 1월 17일 (월) 17:23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분류:기출문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아마추어무선][분류:기출문제])
- 2022년 1월 17일 (월) 17:21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전파법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퀴즈 플러그인 파악을 못해서 일단 입력한 후에 다시 수정 예정. 일단 테스트 중. <quiz display=simple> {“인체, 기자재, 무선설비 등을 둘러싸고 있는 전파의 세기, 잡음 등 전자파의 총체적인 분포 상황”을 무엇이라 하는가? |type="()"} - 무선환경 + 전파환경 - 전자파환경 - 주파수이용환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파자원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 2022년 1월 17일 (월) 16:59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전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용어 전파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3KHz 부터 3THz 까지를 전파로 분류한다. 통상 아마추어 무선에서 사용되는 전파는 다음과 같다. * 장파( 30~300KHz ) - LF 라고 부른다. 1930년대 전신용으로 사용되던 전파. * 중파( 300KHz~3MHz ) - MF 라고 부른다. 지상에서 약 100km의 전리층 E층에 반사됨. 원거리 송신에 유리하여 중파방송 같은 라디오에 이용됨. * 단파( 3~30MHz ) - HF...)
- 2022년 1월 17일 (월) 16:51 갈대 토론 기여님이 분류:Alinco의 제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inco의 제품)
- 2022년 1월 17일 (월) 16:49 갈대 토론 기여님이 Alinco DJ-CRX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able align="right" width=320><-2><bgcolor='rgb(65, 136, 241)'><colcolor=#fff> {{{#FFF Alinco}}}[br] {{{+1 '''DJ-CRX5'''}}} || ||<-2> 파일:DJ-CRX5.JPG || ||<colbgcolor=#dcdcdc,#8d8d8d> '''제조회사''' || Alinco || || '''유형''' || 핸디무전기 || || '''형식승인''' || https://www.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1517100000243685 업무용 || ||<-2><bgcolor='rgb(65, 136, 241)'><colcolor=#fff> '''일반''' || || '''주파수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