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23일 (토)
- 00:202022년 4월 23일 (토) 00:20 차이 역사 +93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 00:172022년 4월 23일 (토) 00:17 차이 역사 +75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 00:132022년 4월 23일 (토) 00:13 차이 역사 −10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 00:082022년 4월 23일 (토) 00:08 차이 역사 +71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 00:052022년 4월 23일 (토) 00:05 차이 역사 +3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 00:052022년 4월 23일 (토) 00:05 차이 역사 +36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2022년 4월 22일 (금)
- 23:552022년 4월 22일 (금) 23:55 차이 역사 +3 잔글 전건 편집 요약 없음
- 23:522022년 4월 22일 (금) 23:52 차이 역사 +4 잔글 PTT 편집 요약 없음
- 23:512022년 4월 22일 (금) 23:51 차이 역사 +370 새글 전건 새 문서: <big>'''Key'''</big> =개요= PTT의 일종으로, CW용으로 사용되는 건반을 말한다. CW 하면 흔하게 떠올리는 직건(Straight Key)이 가장 일반적이다. =자동 전건= '''Keyer'''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길이에 맞는 신호를 넣어주는 것을 Keyer라고 하며, 패들(Paddles)이 일반적이다. 분류:기자재
- 23:422022년 4월 22일 (금) 23:42 차이 역사 −7 잔글 PTT 편집 요약 없음
- 23:422022년 4월 22일 (금) 23:42 차이 역사 +52 잔글 PTT 편집 요약 없음
- 23:242022년 4월 22일 (금) 23:24 차이 역사 −7 잔글 PTT 편집 요약 없음
- 23:222022년 4월 22일 (금) 23:22 차이 역사 +565 새글 PTT 새 문서: <big>'''Push-to-talk'''</big> =개요= 반이중 방식(Half-duplex)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에서, 수신 상태와 송신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기본적으로 무전기는 수신 상태에 놓여 있으며, PTT 스위치를 눌러 닫혀 있는 동안에만 송신 상태가 된다. 휴대용 무전기에서는 기본적으로 PTT 버튼이 있으며, 그 밖의 경우에는 전용 마이크나 스피커마이크에 달려 있다. 데이터...
- 23:122022년 4월 22일 (금) 23:12 차이 역사 +4 잔글 스피커마이크 편집 요약 없음
- 23:112022년 4월 22일 (금) 23:11 차이 역사 +36 새글 주먹마이크 스피커마이크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23:102022년 4월 22일 (금) 23:10 차이 역사 +17 잔글 스피커마이크 편집 요약 없음
- 23:102022년 4월 22일 (금) 23:10 차이 역사 +646 새글 스피커마이크 새 문서: <big>'''Speaker Microphone'''</big> =개요= 스피커와 마이크, PTT 스위치를 합친 기기로, 흔히 '주먹마이크'라고 부른다.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경우도 있고, 마이크와 스피커가 단일 소자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으나, 요즘엔 찾아보기 어렵다. 휴대용 무전기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필수적이지 않지만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유연한 운용이 가능해...
- 22:482022년 4월 22일 (금) 22:48 차이 역사 +1 잔글 73 편집 요약 없음
- 19:592022년 4월 22일 (금) 19:59 차이 역사 +7 잔글 아즐사 편집 요약 없음
- 19:592022년 4월 22일 (금) 19:59 차이 역사 −7 잔글 아즐사 편집 요약 없음
- 19:572022년 4월 22일 (금) 19:57 차이 역사 +86 아즐사 편집 요약 없음
- 19:552022년 4월 22일 (금) 19:55 차이 역사 −7 아즐사 편집 요약 없음
- 19:542022년 4월 22일 (금) 19:54 차이 역사 +32 아즐사 편집 요약 없음
- 14:192022년 4월 22일 (금) 14:19 차이 역사 +15 잔글 Mode 편집 요약 없음
- 14:182022년 4월 22일 (금) 14:18 차이 역사 +4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4:162022년 4월 22일 (금) 14:16 차이 역사 −27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4:152022년 4월 22일 (금) 14:15 차이 역사 −20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4:142022년 4월 22일 (금) 14:14 차이 역사 +10 잔글 전화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0:132022년 4월 22일 (금) 10:13 차이 역사 +22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0:102022년 4월 22일 (금) 10:10 차이 역사 +10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0:102022년 4월 22일 (금) 10:10 차이 역사 +3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0:092022년 4월 22일 (금) 10:09 차이 역사 +1 잔글 전화 편집 요약 없음
- 10:082022년 4월 22일 (금) 10:08 차이 역사 +29 잔글 전신 편집 요약 없음
- 10:072022년 4월 22일 (금) 10:07 차이 역사 +3 잔글 전화 편집 요약 없음
- 10:052022년 4월 22일 (금) 10:05 차이 역사 +101 잔글 전화 편집 요약 없음
- 10:002022년 4월 22일 (금) 10:00 차이 역사 +535 새글 전신 새 문서: 분류:용어 <big>'''Telegraphy'''</big> =개요= 단순 전기 신호에 따른 교신을 말한다. 전화와 다르게 디지털적인 성격으로 인간이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을 익히거나 인코더·디코더를 통해야 한다. 1차원 체계를 CW라고 부르며 단일 가청 톤 또는 단일 전기 신호의 시간축에 따른 유무의 조합으로 교신하는 방식이다. 2차원 체계는 단순히 데이터 통신이라...
- 09:482022년 4월 22일 (금) 09:48 차이 역사 +18 잔글 전화 편집 요약 없음
- 09:482022년 4월 22일 (금) 09:48 차이 역사 +262 새글 전화 새 문서: <big>'''Telephony'''</big> =개요= 음성을 통한 교신을 말한다. 별다른 프로토콜 없이 인간이 간편하게 송수신하기 쉬운 휴먼 인터페이스로 아날로그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전신과 차이를 보인다.
- 02:222022년 4월 22일 (금) 02:22 차이 역사 +71 잔글 73 편집 요약 없음
- 02:182022년 4월 22일 (금) 02:18 차이 역사 +63 잔글 73 편집 요약 없음
- 02:092022년 4월 22일 (금) 02:09 차이 역사 +17 잔글 73 편집 요약 없음
- 02:082022년 4월 22일 (금) 02:08 차이 역사 +4 잔글 73 편집 요약 없음
- 01:592022년 4월 22일 (금) 01:59 차이 역사 +77 잔글 73 편집 요약 없음
- 01:552022년 4월 22일 (금) 01:55 차이 역사 +20 새글 88 73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1:542022년 4월 22일 (금) 01:54 차이 역사 +1,085 새글 73 새 문서: <big>'''Best Regards'''</big> =개요= 전신 코드 체계 중 하나인 '''92 Code'''에서 차용된 약어로, 그 73번째 코드의 의미가 영문권에서 격식을 갖춘 맺음말인 '친애를 담아'라는 뜻이었으며, 주로 교신 종료 인사에 쓰인다. 전화에서는 코드 체계에서 유래함을 고려하여 "Seven-three"가 아닌 "Seventy-three"로 읽는다. 73은 동성, 88(Love and kisses)은 이성 간 교신에 쓰인다 알려져...
2022년 4월 21일 (목)
- 15:562022년 4월 21일 (목) 15:56 차이 역사 −4 잔글 Mode 편집 요약 없음
- 01:102022년 4월 21일 (목) 01:10 차이 역사 −22 잔글 커넥터 편집 요약 없음
- 01:092022년 4월 21일 (목) 01:09 차이 역사 +1 잔글 커넥터 편집 요약 없음
- 01:092022년 4월 21일 (목) 01:09 차이 역사 +38 잔글 커넥터 편집 요약 없음
2022년 4월 20일 (수)
- 16:332022년 4월 20일 (수) 16:33 차이 역사 +28 잔글 발진 편집 요약 없음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