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4월 22일 (금) 09:48 Xdk 토론 기여님이 전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g>'''Telephony'''</big> =개요= 음성을 통한 교신을 말한다. 별다른 프로토콜 없이 인간이 간편하게 송수신하기 쉬운 휴먼 인터페이스로 아날로그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전신과 차이를 보인다.)
- 2022년 4월 22일 (금) 01:55 Xdk 토론 기여님이 8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73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22일 (금) 01:54 Xdk 토론 기여님이 7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g>'''Best Regards'''</big> =개요= 전신 코드 체계 중 하나인 '''92 Code'''에서 차용된 약어로, 그 73번째 코드의 의미가 영문권에서 격식을 갖춘 맺음말인 '친애를 담아'라는 뜻이었으며, 주로 교신 종료 인사에 쓰인다. 전화에서는 코드 체계에서 유래함을 고려하여 "Seven-three"가 아닌 "Seventy-three"로 읽는다. 73은 동성, 88(Love and kisses)은 이성 간 교신에 쓰인다 알려져...)
- 2022년 4월 21일 (목) 16:43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CB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시민 밴드 라디오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21일 (목) 10:53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Nogojir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서 생성) 태그: visualeditor-switched
- 2022년 4월 21일 (목) 10:49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모스부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모스 부호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21일 (목) 10:49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모르스부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모스 부호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21일 (목) 10:49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모르스 부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모스 부호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21일 (목) 10:48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모스 부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서 생성)
- 2022년 4월 21일 (목) 09:29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CQ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서 생성)
- 2022년 4월 21일 (목) 08:53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여우는 같은 덫에 두 번 걸리지 않는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서 생성)
- 2022년 4월 20일 (수) 23:17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시민 밴드 라디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서 생성) 태그: visualeditor-switched
- 2022년 4월 20일 (수) 13:01 Xdk 토론 기여님이 상호변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g>'''Intermodulation''' (IM)</big>)
- 2022년 4월 9일 (토) 22:31 Xdk 토론 기여님이 파일:Azlsa contrad.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4월 9일 (토) 22:31 Xdk 토론 기여님이 파일:Azlsa contrad.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4월 9일 (토) 03:01 Xdk 토론 기여님이 일본 꼰대 트윗 사건 문서를 일본 햄 꼰대 트윗 사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9일 (토) 02:10 Xdk 토론 기여님이 일본 꼰대 트윗 사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2022년 4월 7일 일본의 모 아마추어 무선사가 초보자를 무시하는 트윗을 올려 전적으로 큰 비판을 받은 사건. = 본문 = {{인용문|不慣れな方はぜひ記念局の運用は控えていただきたいです。迷惑です。私は何度もDXとのQSOの機会を記念局に被せられ失いました。初心者なら、まず個人局を開設して十分に慣れてから記念局を開設すべきだと思います。一考を...)
- 2022년 4월 9일 (토) 01:32 Xdk 토론 기여님이 토론:아즐사(아마추어 무선을 즐기는 사람들) 문서를 토론:아즐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표제어 단순화)
- 2022년 4월 9일 (토) 01:32 Xdk 토론 기여님이 아즐사(아마추어 무선을 즐기는 사람들) 문서를 아즐사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표제어 단순화)
- 2022년 4월 9일 (토) 01:32 Xdk 토론 기여님이 덮어쓰기를 통해 아즐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아즐사(아마추어 무선을 즐기는 사람들)"에서 문서를 이동하기 위해 삭제함)
- 2022년 4월 8일 (금) 10:09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Azlsa staff change.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4월 8일 (금) 10:09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Azlsa staff change.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4월 2일 (토) 17:57 김승환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3월 31일 (목) 23:49 Xdk 토론 기여님이 파일:S-param.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31일 (목) 23:49 Xdk 토론 기여님이 파일:S-param.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31일 (목) 23:00 Xdk 토론 기여님이 S파라미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S-파라미터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3월 31일 (목) 22:59 Xdk 토론 기여님이 S-파라미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g>'''Scattering Parameters / Scattering Matrix'''<br /> '''S-Parametres / S-Matrix'''</big> ==개요== S-파라미터 또는 산란 계수는 RF 회로에서 포트 간의 입출력을 비교하는 수단으로, 행렬(Matrix)을 통해 회로의 이득이나 반사 특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정의== 포트 1과 포트 2, 2개 포트를 가진 회로의 S-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math>S_{\mathrm{MATRIX}}=\left[\begin{matrix}S_{11}&S_{12}\\...)
- 2022년 3월 30일 (수) 20:42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인용문/설명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설명문서 안내}} <!-- 여기에 틀에 대한 설명문서를 작성하세요. --> x15px 주의: 틀 앞에 들여쓰기(<code>:</code>, 쌍점(콜론))를 추가하지 마세요. 들여쓰기를 하게되면, 린트 오류가 발생합니다.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left;" |들여쓰기 유무에 따른 예시 |- ! 예 || 비고 |- | <code><nowiki>{{인용...)
- 2022년 3월 28일 (월) 22:11 SWR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SW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SWR 미터기 모으는 것을 좋아합니다. HL일수도 있고, DS일수도 있고, 6K, 6L,이거나 D9, DT일수도 있는 사람 알려고 하지마세요 == 보유 목록 == 그런거 없다)
- 2022년 3월 28일 (월) 22:06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 검열1.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22:06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 검열1.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22:04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 비판글1.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22:04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 비판글1.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21:57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 가입불가기간.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21:57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 가입불가기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13:33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Gender,age.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13:33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Gender,age.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13:31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Require personal info azlsa.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28일 (월) 13:31 SWR 토론 기여님이 파일:Require personal info azlsa.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21:13 Fregmented 토론 기여님이 파일:U.fl female.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21:13 Fregmented 토론 기여님이 파일:U.fl female.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3월 27일 (일) 21:08 Fregmented 토론 기여님이 파일:2 mm SMD UFL Socket.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CC NC-SA author: https://www.flickr.com/people/33504192@N00)
- 2022년 3월 27일 (일) 21:08 Fregmented 토론 기여님이 파일:2 mm SMD UFL Socket.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CC NC-SA author: https://www.flickr.com/people/33504192@N00)
- 2022년 3월 27일 (일) 21:00 Fregmented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3월 26일 (토) 04:27 Xdk 토론 기여님이 리츠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연선#리츠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3월 26일 (토) 04:14 Xdk 토론 기여님이 와전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g>Eddy Current</big> ==개요== 교류 전류가 흐르는 도선의 자속 변화에 의해 저항이 작용하는 현상이다.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자계가 발생하는데, 교류 전류일 경우 주파수에 따라 자속의 흐름도 변화한다. 이 자속 변화가 같은 도선에 다시 유도되면서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원래 교류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도체에 열이 발생하고 전력의 손실을 초래한...)
- 2022년 3월 26일 (토) 03:36 Xdk 토론 기여님이 연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g>Stranded Wire</big> ==개요== 도체가 여러 가닥의 다발로 구성된 전선을 말한다.<br /> 단일 도체로 된 강선에 비교하면 유연하고, 재료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br /> 교류 전류가 흐를 때 와전류에 의한 표피 효과의 대책으로 쓰이며, 고주파/고전류에서의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리츠선=== <big>Litzendraht Wire (Litz Wire)</big> 연선의 도체 각 가닥을 코팅하거나 피복...)
- 2022년 3월 26일 (토) 03:01 Xdk 토론 기여님이 분류:기자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전기나 안테나같은 별도 분류가 존재하는 항목을 제외한 무선통신용 자재를 분류합니다)
- 2022년 3월 25일 (금) 19:19 Xdk 토론 기여님이 레테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Retevis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3월 24일 (목) 02:56 Xdk 토론 기여님이 정재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정재파비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