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리층

Xdk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24일 (화) 01:28 판

The Ionospheric Regions


개요

전리층은 대기중의 기체가 태양복사에 의해 이온화(전리)되어 전기적 특성을 지닌 층을 이룬 것을 말한다. 일정 주파수 이하의 전자기파를 반사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한 전리층 반사 통신이 활발하며, 전세계의 아마추어 무선사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신비한 자연현상이다.

동지보다 하지에, 밤보다 낮에 자외선의 영향이 크므로 전리층의 특성이 뚜렷해진다. 또 태양활동에 의한 태양풍에 의해서도 특성이 강해진다. 대기권층의 기체 밀도 및 온도와도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다.

반사 지점이 적도나 극지에 가까울수록 각각 자외선과 태양풍의 영향이 크므로,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반사 지점은 반사가 일어나는 고도가 높을수록 전자기파의 도약(Skip) 거리가 멀어진다.

본 문서에서 기술하는 전리층의 특성 주파수는 수직 방출을 기준으로 한 임계 주파수(Critical Frequency)이다. 이를 입사각의 코사인(Cosine)으로 나누면 반사 가능한 최대 주파수(Maximum Usable Frequency)가 되는데, 이 값은 대체로 임계 주파수의 3-4배 정도가 된다. 최적 운용 주파수(Optimum Working Frequency)는 최대 운용 주파수의 85%이다.

전리층

Iono.png

D층

주로 낮에만 나타나며, 중간권(Mesosphere)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10 MHz 이하의 전자기파를 반사한다.

E층

열권(Thermosphere)의 하부를 차지한다. 10 MHz 이하의 전자기파를 반사한다.

산발성 E층

E층에서 여름에 산발적으로 일어나며, 일시적으로 에너지가 집중되면서 25 MHz 이상의 전자기파도 반사할 수 있다. 또 F층과의 상호작용으로 전자기파가 비정상적으로 멀리 전달되는 라디오 덕트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F층

열권과 외기권에 이르기까지 두께가 매우 두껍다. 15 MHz 이하의 전자기파를 반사하며, 일사량이 많을 때는 F1과 F2층으로 나뉘는데, F2층은 특성이 더 강해진다.

산발성 F2

산발성 E층과 마찬가지로 F2층에서 산발적으로 일어나며, 50 MHz 이상으로 VHF도 반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산발성 E층보다 빈도가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