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4:0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깨진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깨진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 2022년 1월 14일 (금) 13:34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대문.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3:34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파일:아즐사대문.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2:34 쭈왑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2:3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MYT-9800.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2:3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MYT-9800.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2:21 Tokgnoin 토론 기여님이 듀얼와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무전기기능)
- 2022년 1월 14일 (금) 12:05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햄린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차 목표: 저가 핸디형 무전기 위주로 정보 상자를 깔끔하게 만들계획 2차 목표: 한국에서 유명한 리그 정보상자를 만들 계획)
- 2022년 1월 14일 (금) 12:02 Tokgnoin 토론 기여님이 아이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콤 주식회사(일본어: アイコム株式会社, Icom Incorporated)는 일본의 무전기 제조회사이다. 아마추어 무선에서 전 세계적으로 매우 유명하고 시장점유율이 압도적인 무전기 회사이다. 미국 해병대의 포스리콘도 아이콤 HF 포터블 무전기(AN/PRC-138)를 사용한다. 이노우에 도쿠조(일본어: 井上 徳造)가 1954년 설립되었다. 본사는 일본 오사카에 있다. 미국과 캐나다, 오...)
- 2022년 1월 14일 (금) 12:00 Tokgnoin 토론 기여님이 ICO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direct 아이콤)
- 2022년 1월 14일 (금) 11:52 765PROIII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1:49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DJ-MD5.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1:49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DJ-MD5.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1:40 Band plan 토론님이 Yaesu FT-81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Yaesu FT-817은 아마추어 밴드 ALL Mode ALL Band 트랜시버이다. 5w의 출력으로 QRP장비라고 불리기도 하며, 실제로 무전기 안에 배터리를 내장 시킬 수있는 부분이 있어, 무전기와 안테나, 마이크만 챙겨서 나가서 교신을 할 수있다. 국내에서 옵티텍 이라는 회사가 정식 수입을 하였고, 이 스티커가 붇어있는 817은 준공검사가 면제된다. == 제원 == || 출력 || 5...)
- 2022년 1월 14일 (금) 11:27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호출부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문서 개설)
- 2022년 1월 14일 (금) 11:22 Band plan 토론님이 야에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direct Yaesu)
- 2022년 1월 14일 (금) 11:15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파일:햄갤자짤.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1:15 Nogojiri 토론 기여님이 파일:햄갤자짤.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1:03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사용자:햄린이/tes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ablewidth=320><-4><bgcolor=#8fbc8f><colcolor=#000> '''테 스 트''' || ||<colbgcolor=#dcdcdc,#8d8d8d> '''테스트''' || 성능 || 성능 || 성능 || || '''테스트''' || 성능 || 성능 || 성능 ||)
- 2022년 1월 14일 (금) 10:48 FT1XD 토론 기여님이 파일:KARL BAND PLAN.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10:48 FT1XD 토론 기여님이 파일:KARL BAND PLAN.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9:58 Band plan 2 토론 기여님이 파일:International amateur radio symbol.svg.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9:58 Band plan 2 토론 기여님이 파일:International amateur radio symbol.svg.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9:51 Band plan 2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9:02 FT1XD 토론 기여님이 밴드 플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요=== ITU에서 주파수를 국제 배분하면 각국에서 국내 배분을 한다. 여기서 각국 연맹이 다시 한번 용도별로 지정하는데 이를 '''밴드 플랜'''이라고 한다.)
- 2022년 1월 14일 (금) 08:14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IC-70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IC-705는 ICOM사에서 제조한 아마추어 무선용 무전기이다. = 상세 = HF/50/VHF(144)/UHF(430)를 지원하고 출력은 최대 10W이다. = 장점 = * 휴대성이 좋음 = 단점 = = 메뉴얼 = 분류:무전기)
- 2022년 1월 14일 (금) 07:10 맨팩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6:52 706mkiig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6:34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중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편집중)
- 2022년 1월 14일 (금) 06:2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한국 아마추어 무선 연맹 문서를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6:10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5:54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DM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MR''' (Digital Mobile Radio)는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의 표준 TS 102 361 parts 1–4 에 정의한 제한된 개방형 디지털 모바일 라디오 표준으로 전세계 사용 제품에 사용된다. == 명세 == == DMR 계층 == == 아마추어 무선에서의 사용 == DMR은 2010년경 [https://www.dmr-marc.net/ DMR-MARC](Motorora 아마추어 라디오클럽)에서 VHF와 UHF e대역 일부에서...)
- 2022년 1월 14일 (금) 05:25 FT1XD 토론 기여님이 아마추어 무선 주파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최초 작성 | 작성 중)
- 2022년 1월 14일 (금) 05:13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한국 아마추어 무선 연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Korean Amateur Radio League, KARL)은 1955년 4월 20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무선사 단체이다. == 개요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사단법인이며 2022년 기준, 본부는 경기도 용인시 중부대로 1584에 있다. == 역사 ==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은 무허가 아마추어무선사가 많았던 시절(1950년대)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되었...)
- 2022년 1월 14일 (금) 04:53 Kta1540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4:41 FT1XD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4:32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KD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일:KDN.jpg)
- 2022년 1월 14일 (금) 04:28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안테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각종 무선 기기 및 무선 장비에서 나오는 무선 신호를 전자기파로 송수신하는 기구 == 종류 == 방사 패턴에 따라 지향성, 무지향성으로 나뉜다. === 무지향성 안테나 === 추가 예정 ==== 예시 ==== * GP 안테나 * 다이폴 안테나 * 모노폴 안테나 * 텔레스코픽 안테나 === 지향성 안테나 === 추가 예정 ==== 예시 ==== * 야기-우다 안테나)
- 2022년 1월 14일 (금) 04:09 Tsban 토론 기여님이 무선통신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무선통신사는 한국전파진흥원에서 발급하는 국가기술자격증, 혹은 그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뜻한다. = 상세 = 무선통신사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무선국과 무선설비의 통신운용 및 기술운용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사 자격의 종류는 육상무선통신사, 해상무선통신사, 항공무선통신사, 제한무선통신사의 4가지이다. 이 중 육상무선통신사와...)
- 2022년 1월 14일 (금) 03:50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아마추어 무선 자격증 취득 과정 문서를 아마추어무선기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3:32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아마추어 무선 자격증 취득 과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 자격 종목 ! 검정 과목 !<:> 무선국 종사 범위 !<:> 동급 인정 자격 |- ! 4급 | 없음 | 아마추어국의 안테나 공급전력 10와트 이하의 무선설비로서 30MHz 이상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것의 운용.[* 전파 규정상 HF 이외의 대역에서 운용하라는 명시이고, 따라서 50MHz 운용도 가능하나 실질적으로 99.9%의 4급 소유자들은 145MHz와 430MHz 대역에서 운용을...)
- 2022년 1월 14일 (금) 03:27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전화와 다르게 PTT 방법을 사용함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 종류 = 무전기는 크게 생활무전기, 선박, 항공무전기, 아마추어무전기, 군용 무전기로 나뉜다. ==생활 무전기== 허가나 신고할 필요 없이 구입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이다....)
- 2022년 1월 14일 (금) 03:23 그루터기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2년 1월 14일 (금) 03:16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Yaes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Yaesu Musen Co., Ltd. (八重洲無線株式会社) 는 1959년에 일본 아마추어 하세가와 사코(콜사인 '''JA1MP''')에 의해 일본 도쿄 츄오구 야에스에서 설립된 상업 및 아마추어 무선 장비 제조회사다. == 주요 제품 목록 == === 수신기 === === 아마추어 무선 송수신기(HF) === === 아마추어 무선 송수신기(VHF/UHF) === === 아마추어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VHF/UHF) === * FT-11R (VHF 송수신...)
- 2022년 1월 14일 (금) 03:15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민영정보통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대한민국의 무전기 유통사. [[ICOM]의 대한민국 정식 수입사이다.)
- 2022년 1월 14일 (금) 03:11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분류:DM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MR)
- 2022년 1월 14일 (금) 03:11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분류:무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전기)
- 2022년 1월 14일 (금) 03:11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분류:무전기 제조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전기 제조사)
- 2022년 1월 14일 (금) 03:10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알린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Alinco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월 14일 (금) 03:10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알링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Alinco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