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1월 27일 (목) 13:56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파일:VSWR.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7일 (목) 13:56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파일:VSWR.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22:03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중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무선국)
- 2022년 1월 26일 (수) 11:15 SWR 토론 기여님이 토론:중계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진행중인 토론 == 사실..이거 뭔지 모르겠음. --알려고하지마 (토론) :법적으로 얼레리 꼴레리해서 그런듯 --햄린이 (토론) 2022년 1월 24일 (월) 15:34 (UTC) ::그런데 이 중계기들은 연맹에서 인가받은 합법적 중계기들일껄? 송수신 주파수랑 톤값 지금 확인중 --사용자:알려...)
- 2022년 1월 26일 (수) 07:2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한국아마추어무선카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한국아마추어무선카페''' (KARC)는 아마추어 무선을 주제로 하는 다음 카페이다. 2022년 1월 26일 기준 골드 73단계이며. 카페지기는 DS1MFC이다. == 상세 == || 우리 카페회원님들은 자부심을 가지셔도 좋습니다. 세계최고, 최대의 EME 클럽국 스위스의 HB9Q의 432MHZ EME DXCC LOG와 1296MHZ EME DXC LOG에 DS1MFC가 HL List로 등재되었습니다. 진공관앰프를 원하는 출력관으...)
- 2022년 1월 26일 (수) 07: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단체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무선국)
- 2022년 1월 26일 (수) 07:0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개인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무선국)
- 2022년 1월 26일 (수) 07:0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무선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분류)
- 2022년 1월 26일 (수) 06:56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무선연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분류)
- 2022년 1월 26일 (수) 06:49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서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대한민국의 지역)
- 2022년 1월 26일 (수) 06:4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분류:대한민국의 지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일:대한민국의_지역.jpeg ;지역 설명: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D%96%89%EC%A0%95_%EA%B5%AC%EC%97%AD 위키백과 대한민국의 지역] 분류:분류)
- 2022년 1월 26일 (수) 06:46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대한민국의 지역.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06:46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대한민국의 지역.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05:30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파일:동축2.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05:30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파일:동축2.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05:27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RG-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요== 아마추어 무선에서 자주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 두께도 꽤나 두껍고 따라서 손실도 적은 편이다.)
- 2022년 1월 26일 (수) 05:23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파일:동축.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05:23 Gpantenna 토론 기여님이 파일:동축.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6일 (수) 00:02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모노폴 안테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안테나 = 개요 = 수직접지 안테나라고도 부른다. 반파장 다이플 안테나를 90도로 기울여 한쪽면을 지표면에 접지한 형태로 보아도 무방하다. 안테나의 길이가 파장의 1/4이다. 수평 방향으로 최대 전력량을 방출하기에 라디오 방송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Marconi에 의해 발명되어 Marconi 안테나라고도 불린다. = 모양 = 보통 엘리먼트 하나가 지상으로 높게 솟...)
- 2022년 1월 25일 (화) 23:42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다이폴 안테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안테나 = 개요 = 안테나의 기본이 되는 안테나로 2개의 극성이라는 뜻이다. = 모양 = 그림:Dipole_antenna.png = 특징 =)
- 2022년 1월 25일 (화) 23:40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파일:Dipole antenna.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5일 (화) 23:40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파일:Dipole antenna.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5일 (화) 23:34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UT-106UV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안테나 {{안테나 정보 |제조사 = NAGOYA |모델명 = UT-106UV |그림 = 파일:UT-106.PNG |그림설명 = NAGOYA UT-106UV |안테나종류= 휩 |커넥터종류 = SMA-F / SMA-M |주파수대역 = 144/430 Mhz |크기 = 32 cm |무게 = - gram |이득 = 2.15 db |최대전력 = 50W |VSWR = <1.5 |임피던스= 50 ohms }} = 개요 = NAGOYA사에서 만든 VHF/UHF 겸용 안테나이다. 알리 등에서 배송비 무료에 6~7 달러에 판매중이다. =...)
- 2022년 1월 25일 (화) 23:27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파일:UT-106.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NAGOYA UT-106UV 안테나)
- 2022년 1월 25일 (화) 23:27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파일:UT-106.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NAGOYA UT-106UV 안테나)
- 2022년 1월 25일 (화) 15:40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Ailunce HD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전기 정보 |제조사 = Retevis |모델명 = Ailunce HD1 |그림 = 파일:AilunceHD1.png |그림설명 = Ailunce HD1 본체 |유형 = 핸디무전기 |형식승인 = 준공검사필요 |주파수대역 = -VHF 136-174 MHz <br />-UHF 400-480 MHz<br />76-107.95MHz(수신전용)<br />(주파수 변경 및 준공검사 필요) |지원모드 = -아날로그<br/>-DMR |크기 = 64(W) x 150(H) x 40(D) mm |무게 = 약 360g(베터리 포함) |배터리 = 리튬이온 3200mAh...)
- 2022년 1월 25일 (화) 15:31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파일:AilunceHD1.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5일 (화) 15:31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파일:AilunceHD1.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5일 (화) 04:38 Halligan 토론 기여님이 Mod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아마추어 무선에서 통신 방식을 모드 (mode)라고 부른다. 이는 통신 모드 (communication mode)를 줄여서 부르는 용어인데, 무전기의 전면 패널에도 셀렉터에 Mode라고 이름이 붙어있기도 하다. 변조 방식과 같은 것이라고 착각할 수 있으나, 한 가지 변조 방식에도 여러가지 모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관련은 있으나 같은 것은 아니다. 개별적인 방식이 아니라 "디...)
- 2022년 1월 24일 (월) 10:59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분류:기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종 기관)
- 2022년 1월 23일 (일) 23:02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또는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는 정보통신 분야의 독립적인 비영리 표준화 조직이다. ETSI는 ICT 지원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에 대한 글로벌 기술 표준의 개발 및 테스트를 지원한다. = 개요 = ETSI는 유럽 위원회( European Commission )의 제안에 따라 CEPT (European Conference of Postal and Telecommunications Administrations)에 의해 1988년에...)
- 2022년 1월 23일 (일) 22:3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Dmrlogo.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3일 (일) 22:3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Dmrlogo.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3일 (일) 20:07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신호리포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ignal Report = 개요 = [교신]을 할때 기본적으로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하는 정보이다. 상대방의 신호가 나한테 어떻게 들어오는지 판단하여 상대에게 알려주는 행위이다. 보통 명료도(Readablity)와 신호강도(Signal Strength)의 세기를 각기 숫자로 표현하여 한번에 표시한다. 음성도 선명하고 신호도 아주 강하게 들어오면 보통 59[* 파이브 나인으로 읽는다] 이라고 표현한...)
- 2022년 1월 23일 (일) 19:02 알려고하지마 토론 기여님이 위성통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아마추어무선 = 개요 = 인공위성을 통해 아마추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직접 교신하는 것. = 현재 한국에서 이용가능한 인공위성 목록 = || 명칭 || 수신 주파수(MHz) || 송신 주파수(MHz) || 톤 코드 || 기타 || || SO-50 || 436.795 || 145.850 || 67 || || || ISS || 437.800 || 145.990 || 67 || 우주정거장 || || AO-27 || 436.795 || 145.850 || - || || || AO-91 || 145.960 || 435.250 || 67 ||...)
- 2022년 1월 23일 (일) 07:59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둘러보기 상자 묶음/설명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 설명문서 안내}} {{틀|둘러보기 상자}}들을 묶는 틀입니다. == 사용법 == <pre> {{둘러보기 상자 묶음 |상태 = |제목 = |배경색 = |글자색 = |테두리색 = |제목모양 = |내용1 = }} </pre> == 같이 보기 == * {{틀|둘러보기 상자}} * {{틀|둘러보기 상자/중첩}} {{퍼온문서|틀:둘러보기 상자 묶음|11426748}} <includeonly> <!-- 이 줄 아래부터 추가로 분류를 작성하십시오. --> 분류:...)
- 2022년 1월 23일 (일) 07:58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둘러보기 상자 묶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cludeonly>{{둘러보기 상자|묶음 |제목 = {{{제목|이 문서와 관련된 항목}}} |상태 = {{#if:{{{상태|}}}|{{{상태}}}|collapsed}} |내용1 = {{{내용1|}}} |전체모양 = {{#if:{{{테두리색|}}}|border: 1px solid {{{테두리색}}};}} |제목모양 = {{#if:{{{배경색|}}}|background: {{{배경색}}};}}{{#if:{{{글자색|}}}|color: {{{글자색}}};}}{{{제목모양|}}} |내용모양 = font-size: 113%; padding: 0em; }}</includeonly><noinclude> {{틀 설...)
- 2022년 1월 23일 (일) 07:57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틀/설명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 설명문서 안내}} 틀 괄호<nowiki>{{ }}</nowiki>로 감싼 틀의 링크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margin-left:1.6em; width:20em;" |- ! 입력 !! 출력 |- | <nowiki>{{틀|국기}}</nowiki> || {{틀|국기}} |} 분류:판형 틀 분류:문법 틀)
- 2022년 1월 23일 (일) 07:57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includeonly>{{[[틀:{{{1}}}|{{{1}}}]]}}</includeonly></onlyinclude>{{틀 설명문서}})
- 2022년 1월 23일 (일) 07:52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둘러보기 상자/설명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 설명문서 안내}} 서로 관련있는 문서들을 모아두는 틀입니다. 틀에 너무 많은 양의 문서가 담긴다면, 둘러보기 상자보다는 '''분류'''를 이용하세요! 둘러보기 상자에 담기는 문서의 양은 최소화하는 것이 보기 좋답니다! == 사용법 == === 간단 사용법 === <pre> {{둘러보기 상자 |이름 = |상태 = |제목 = |윗글 = |그림 = |내용속성 = hlist |묶음1 = |내용1 = |아랫글...)
- 2022년 1월 23일 (일) 07:50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HamWiki:연습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연습장)
- 2022년 1월 23일 (일) 07:44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둘러보기 상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cludeonly>{{둘러보기 상자/핵심 |이름 = {{{이름|{{PAGENAME}}}}} |상태 = {{{상태|}}} |전체속성 = {{{전체속성|}}} |전체모양 = {{{모양|}}}{{{전체모양|}}} |제목 = {{{제목|}}} |제목모양 = background: {{Skin|1}}; color: white;{{{제목모양|}}} |안내바 = {{{안내바|}}} |왼쪽그림 = {{{왼쪽그림|}}} |그림 = {{{그림|}}} |윗글 = {{{윗글|}}} |윗글속성 = {{{윗글속성|}}} |윗글모양 = background: {{Skin|2}};{{{윗...)
- 2022년 1월 23일 (일) 07:43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둘러보기 상자/핵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table class="navbox {{#ifeq:{{{상태|}}}|plain||collapsible {{#if:{{{상태|}}}|{{{상태}}}|autocollapse}}}} nowraplinks {{{전체속성|}}}" style="clear: both;{{#if:{{{묶음없음|}}}||background: transparent; }}{{{전체모양|}}}"><!-- === 제목 부분 === --><tr> <th colspan="{{{가로폭|1}}}"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제목모양|}}}"><!-- --><div style="float: left; text-align: left;">{{#switch:{{{안내바|}}} |없음= |o...)
- 2022년 1월 23일 (일) 07:36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틀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includeonly><span class="plainlinks plainlinksneverexpand tp_link" style="white-space: nowrap; font-weight: normal; font-size: 0.9em;">[[틀:{{{1}}}|보기]] <span style="font-size: 0.7em;">•</span> [{{fullurl:틀:{{{1}}}|action=edit}} 편집]</span></includeonly></onlyinclude> 《보기 • 편집》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틀입니다. 분류:링크 틀)
- 2022년 1월 23일 (일) 07:35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탭/styles.c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ibre .libre-tab .libre-tab-btns { display: flex; flex-wrap: wrap; list-style: none; margin: 1rem auto 2.5em; justify-content: center !important; } .libre .libre-tab .libre-tab-btn { position: relative; display: grid; flex: 1 auto; padding: 0.4rem;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align-items: center; max-width: 14rem; cursor: pointer; border-bottom: 2px solid #e1e8ed; transition: 0.2s; } @media (min-widt...)
- 2022년 1월 23일 (일) 07:3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Skin/설명문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틀 설명문서 안내}} Liberty 스킨에 맞춘 색상입니다. 출처는 [https://github.com/librewiki/liberty-skin 스킨 github], 이슈트래커:Q26입니다. <code><nowiki>style="background:{{Skin|1}};" / {{색|white|내용}}</nowiki></code> <code><nowiki>style="background:{{Skin|2}};" / {{색|{{Skin|1}}|내용}}</nowiki></code> 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 <code><nowiki>{{Skin|1}}</nowiki></code>: {{색|{{Skin|1}}|█}} #4188F1 *: 상단바 색 * <code><n...)
- 2022년 1월 23일 (일) 07:31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틀:Sk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includeonly>{{#switch:{{{1|}}} |1=<nowiki>#</nowiki>4188f1 |2=<nowiki>#</nowiki>F5F8FA |3=<nowiki>#</nowiki>F5F5F5 |4=<nowiki>#</nowiki>FFFFFF }}</includeonly></onlyinclude> {{틀 설명문서}} 분류:색상 틀)
- 2022년 1월 23일 (일) 07:17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DJ-CRX5.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월 23일 (일) 07:17 햄린이 토론 기여님이 파일:DJ-CRX5.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월 23일 (일) 02:57 Mango777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